편안함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0

여러분도 혹시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 포트폴리오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왠지 모를 불안감이 계속 엄습해오는 느낌 말입니다. 시장은 호황이고, 실업률은 낮은데도 마음 한편에서는 ‘언제 무너질까’하는 걱정이 떠나지 않죠. 이런 현상의 배경에는 흥미로운 심리학적 메커니즘이 숨어있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가상의 위협들

편안함의 역설: 문제를 찾는 뇌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편안함의 습격』의 저자 마이클 이스터는 인간의 흥미로운 심리적 특성을 지적합니다. 우리는 편안해질수록 오히려 존재하지 않는 문제들을 만들어낸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두 가지 흥미로운 실험이 이를 증명합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880개의 얼굴 사진을 보여주며 어떤 얼굴이 위협적인지 판단하게 했습니다. 연구진이 200장 이후부터 위협적인 인물의 사진을 넣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피실험자들은 계속해서 ‘악마’를 찾아내기 시작했습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과학 제안의 윤리성을 판단하게 했는데, 연구진이 비윤리적인 선택지를 제거한 후에도 참가자들은 스스로 도덕적으로 의심스러운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편안함에 의한 잠식’의 메커니즘

이러한 현상을 ‘편안함에 의한 잠식(comfort creep)’이라고 부릅니다. 실제 문제가 줄어들수록 우리는 기준을 낮추고, 더 사소한 것들을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이는 뇌가 에너지를 절약하려는 본능적 메커니즘의 일부로, 무의식중에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인지하지 못합니다.

투자자들이 황금기에 불안한 다섯 가지 이유

1. 상승하는 기대치의 함정

포트폴리오가 성장할수록 기대치도 함께 상승합니다. 과거에는 만족스럽게 느껴졌던 7% 수익률이, 20% 수익률에 익숙해진 투자자에게는 실망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시장 수익률조차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어버리죠.

이는 마치 맛있는 음식에 계속 노출되면서 점점 더 자극적인 맛을 찾게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투자 수익률에 대한 우리의 ‘미각’이 둔화되면서, 예전 같으면 충분히 만족스러웠을 성과도 아쉽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2. 잃을 것이 많아진다는 두려움

자산이 늘어날수록 잃을 것도 많아집니다. 작은 하락도 힘들게 쌓아온 성과를 위협하는 것처럼 느껴지죠. 부는 더 이상 즐기는 대상이 아니라 방어해야 할 대상이 되어버립니다.

예를 들어, 1억원을 가진 사람에게 10% 하락은 1천만원의 손실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10억원을 가진 사람에게는 1억원의 손실이죠. 같은 비율이지만 절대 금액의 무게감은 확연히 다릅니다.

3. 강세장이 부르는 과신의 위험

지속적인 상승장은 투자자들에게 과도한 자신감을 심어줍니다. 수익률을 좇으며 트렌드를 따라가거나 특정 종목에 베팅을 집중시키게 되죠. 이런 숨겨진 위험은 변동성이 다시 돌아올 때 큰 불안을 야기합니다.

마치 좋은 날씨가 계속되면 우산을 챙기는 것을 잊게 되는 것처럼, 좋은 시장 환경에서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둔화됩니다.

4. 평온 이후의 작은 충격

오랜 평온 후에는 작은 조정도 극단적으로 느껴집니다.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시장의 정상적인 특성임을 잊고, 가격이 떨어지면 무언가 심각한 문제가 생겼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는 잔잔한 호수에 작은 돌멩이를 던졌을 때의 파문과 비슷합니다. 평소보다 작은 충격도 더 크게 느껴지죠.

5. 끝없이 움직이는 골대

성공은 야망을 키웁니다. 개인 목표 달성에 집중하는 대신, 투자자들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거나 시장을 이기려고 합니다. 만족감은 어느새 스트레스로 변해버리죠.

일자리 시장은 경제의 엔진

편안함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세 가지 원칙

1. 명확한 포트폴리오 목표 설정

기대 수익률을 기준으로 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필요합니다. ‘많이 벌고 싶다’는 막연한 목표가 아니라, ‘연 8%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와 같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기준을 세워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의 불가피한 변동성을 더 차분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목표가 명확할 때 감정적 판단보다는 논리적 판단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죠.

2. 감정 조절 능력 개발

투자에서 감정은 최대의 적입니다. 자신만의 불안 유발 요인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을 익혀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포트폴리오를 확인하는 습관이 불안을 키운다면 확인 주기를 조절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는 투자 일지를 작성해서 감정적 변화의 패턴을 파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시장 사이클에 대한 건강한 존중

투자와 인생에서 아무것도 영구적이지 않습니다. 상승장도, 하락장도 모두 일시적입니다. 이런 시장의 본질을 이해하면 예측에 매달리지 않으면서도 균형 잡힌 시야를 갖게 됩니다.

역사를 보면 시장은 항상 사이클을 반복해왔습니다. 현재의 상황이 영원할 것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상의 악마와 시간 도둑을 경계하라

결국 허구의 문제를 만들어 괴로워하는 것은 가장 소중한 자원인 시간을 낭비하는 일입니다. 우리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위협에 에너지를 쏟는 대신, 현실에 기반한 합리적인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비트코인부터 부동산, 주식까지 모든 자산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지금, 여러분의 불안은 정말 합리적인 근거에 기반한 것인지 한 번 더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편안함의 함정에 빠져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참고 자료: Anthony Isola, “Don’t Let Comfort Creep You Out”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