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투자 경험에서 오는 황홀감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0

투자에서 수익을 낸 경험이 있다면 누구나 한 번쯤 느껴봤을 그 짜릿한 기분. 마치 달리기 후 느끼는 러너스 하이처럼, 성공적인 투자는 우리에게 강렬한 만족감과 자신감을 선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투자의 황홀감이 오히려 더 큰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달리기와 투자의 놀라운 유사성을 통해 투자 심리의 함정과 현명한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러너스 하이와 투자의 황홀감: 뇌과학적 관점

도로시 파커의 유명한 말처럼 “나는 달리기를 싫어하지만, 달린 경험은 사랑한다”고 표현할 수 있는 러너스 하이는 장거리 달리기 후 느끼는 황홀한 기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달리는 동안 생성되는 엔도르핀이라는 긍정적인 호르몬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뇌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전반적인 만족감과 웰빙을 느끼게 합니다.

투자에서도 이와 매우 유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제이슨 츠바이크가 저서 《투자의 비밀》에서는 이렇게 언급했죠.

투자로 수익을 내는 사람의 신경 활동은 코카인이나 모르핀에 취한 사람의 신경 활동과 다를 바 없습니다.

성공적인 투자 경험은 마치 중독성 물질처럼 우리의 뇌에 강렬한 쾌감을 선사하며, 이러한 경험을 반복하고 싶게 만듭니다.

비동기적 적응의 위험성: 몸과 마음의 불일치

달리기에서 가장 위험한 함정 중 하나는 각 신체 기관의 적응 속도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뇌는 첫 달리기 직후부터 엔도르핀의 긍정적 효과를 경험하고, 심폐계도 일주일 정도의 규칙적인 달리기로 변화를 시작하여 긍정적인 피드백을 보냅니다.

하지만 힘줄, 인대와 같은 연조직은 점진적인 스트레스에 적응하는 데 몇 주가 걸리고, 뼈는 몇 달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합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뇌, 심장, 폐는 명확하고 빈번한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인대가 찢어지거나 뼈가 부러졌다는 신호는 너무 늦을 때까지 감지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투자에서도 동일한 패턴이 나타납니다. 포트폴리오 잔액에 따라 자신감은 빠르게 커지지만, 실제 위험 감수 능력은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습니다. 시장 상승기에는 성장하는 투자에서 위험을 느끼기 어렵고, 상승 변동성으로 인해 잠을 못 이루는 투자자는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효과가 있는 투자에 더 많은 자금을 투입하고, 그렇지 않은 투자에서 빠지는 것이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느껴집니다.

시장 하락기의 뒤늦은 깨달음

문제는 시장이 하락할 때 비로소 드러납니다. 이때야 우리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위험을 떠안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위험에 대한 인식은 현실로 돌아오지만, 그 시점에는 이미 손실이 발생한 후입니다. 사후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것은 결코 성공적인 투자 전략이 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마치 과도한 달리기로 인한 부상과 같습니다. 러너스 하이에 취해 무리하게 달리다가 정강이뼈가 부러지는 것처럼, 투자의 황홀감에 빠져 과도한 위험을 감수하다가 큰 손실을 입게 되는 것입니다.

현명한 투자를 위한 실천 전략

Don’t confuse brains with a bull market

“강세장 때문에 돈을 번 것을 자신이 똑똑해서라고 착각하지 마라”라는 월스트리트 격언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그렇게 간단했다면 투자자들이 공황 매도에 빠지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핵심은 우리의 위험 인식은 유동적일 수 있지만, 포트폴리오는 유동적이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위험을 인식하는 모든 변동을 투자에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단순히 회전율만 높이는 비효율적인 전략일 뿐입니다.

점진적 변화의 원칙

모든 투자 결정은 점진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급작스러운 포트폴리오 변경은 감정에 휩쓸린 결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신 시간을 두고 천천히 조정하면서 자신의 위험 감수 능력과 투자 목표를 재평가해야 합니다.

행동 전 자기 점검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정말 그 행동이 필요한지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시장의 단기적 움직임에 반응하려는 충동인지, 아니면 장기적 관점에서 합리적인 조정인지 냉정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기”의 지혜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선택일 수 있습니다. 이를 기본 설정으로 삼는 것은 충동적인 투자 결정을 방지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한 성과를 낼 수 있는 현명한 전략입니다.

지속 가능한 투자 철학의 중요성

달리기에서 부상을 방지하려면 각 신체 기관의 적응 속도를 고려해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야 하는 것처럼, 투자에서도 자신의 실제 위험 감수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투자는 단기적인 수익 추구가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전략을 기반으로 합니다. 투자의 황홀감에 취해 무리한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냉정한 분석과 신중한 판단을 통해 안정적인 투자 성과를 추구하는 것이 진정한 투자 지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 세계에서 러너스 하이와 같은 황홀감을 경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이고 냉정한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는 첫걸음일 것입니다.

참고 자료: Brendan Mullooly, “The Investor’s High”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