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지혜가 시장의 전문가보다 똑똑한 이유

0

여러분은 혹시 전문가의 예측을 믿고 투자 결정을 내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그런데 막상 시장은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던 적 말입니다. 오늘은 제임스 서로위키의 ‘대중의 지혜’라는 개념을 통해 왜 시장 가격을 존중해야 하는지, 그리고 집단의 판단이 개별 전문가보다 더 정확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바다 밑 잠수함을 찾아낸 집단의 힘

1968년 5월, 미 해군 잠수함 스콜피온이 북대서양 한복판에서 실종되었습니다. 당시 해군이 가진 정보는 잠수함에서 보낸 마지막 무선 신호뿐이었죠. 수천 피트 깊이의 바다에서 잠수함을 찾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흥미롭게도 해군은 수색 및 구조 전문가에게만 의존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하고, 각자 독립적으로 잠수함의 위치를 추측해보도록 했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개별적으로는 아무도 정확한 위치를 맞추지 못했지만, 모든 추측의 평균값은 실제 잔해 위치에서 불과 220야드(약 192m)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황소의 무게를 정확히 맞춘 800명의 평범한 사람들

비슷한 일이 1906년 영국 시골 박람회에서도 일어났습니다. 800명의 참가자가 황소의 무게를 맞추는 대회에 참여했는데, 개별적으로는 누구도 정확한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800명의 추측을 평균내면 1,197파운드가 나왔고, 이는 실제 황소 무게인 1,198파운드와 단 1파운드 차이에 불과했습니다.

이 두 사례가 보여주는 것은 명확합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독립적인 판단을 종합하면, 어떤 개별 전문가보다도 진실에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작동하는 대중의 지혜

주식시장은 대중의 지혜가 실시간으로 작동하는 거대한 실험실입니다. 매 순간 이루어지는 거래는 다음과 같은 수백만 개의 독립적인 의견을 반영합니다:

개별 거래에 담긴 정보들

  • 모든 매수는 해당 주식의 미래 가치에 대한 긍정적 판단
  • 모든 매도는 개인의 위험 감수 성향과 시장 전망
  • 모든 자산 배분은 투자자의 투자 기간과 목표 수익률

이렇게 수백만 개의 다양하고 독립적인 의견이 종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로 시장 가격입니다. 여러분이 그 가격을 좋아할 필요도, 동의할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 가격을 무시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역발상 투자에서 시장 존중으로의 전환

많은 투자자들이 ‘역발상 투자’에 매력을 느낍니다. 대중과 반대로 행동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대중의 지혜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이런 접근법에 의문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시장 가격이 이해되지 않을 때, 우리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시장이 틀렸다고 생각하거나, 시장이 우리가 모르는 무언가를 알고 있다고 인정하는 것입니다. 대중의 지혜는 후자를 선택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말합니다.

데이터로 확인하는 시장의 선견지명

실제 데이터를 보면 이런 현상이 더욱 명확해집니다. S&P 500 지수와 전문가들의 목표 주가를 비교한 차트를 보면,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시장 바닥 예측의 정확성 비교

  • 파란색 선: S&P 500 지수의 실제 움직임
  • 빨간색 선: 전략가들의 평균 목표 주가
  • 결과: 시장이 먼저 바닥을 치고, 전문가들의 목표가 뒤따라 조정됨
S

수백만 명의 독립적인 판단으로 구성된 시장이 소수의 전문가 집단보다 먼저 변화를 감지하고 반영한 것입니다. 이는 잠수함 탐지나 황소 무게 맞추기와 동일한 원리가 금융시장에서도 작동한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시장을 존중한다는 것의 의미

시장을 존중한다는 것은 맹목적으로 따라간다는 뜻이 아닙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자세를 의미합니다:

현명한 시장 접근법

  • 시장 가격에 담긴 집단 지성을 인정하기
  • 개인의 판단과 시장 신호 사이의 균형 찾기
  • 시장이 보내는 메시지에 귀 기울이기
  • 자신만의 확신보다는 데이터와 시장 반응 중시하기

투자에서 겸손함이 가져다주는 힘

대중의 지혜를 이해하고 나면, 투자에 대한 접근법이 근본적으로 바뀝니다. “내가 시장보다 똑똑하다”는 오만함 대신, “시장이 나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겸손함을 갖게 됩니다.

이런 겸손함은 약점이 아니라 강점입니다. 시장의 신호를 더 주의 깊게 관찰하게 되고, 성급한 판단보다는 신중한 분석을 선택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죠.

집단 지성을 활용하는 투자자가 되기

대중의 지혜는 단순한 이론이 아닙니다. 실제 데이터와 역사적 사례들이 입증하는 강력한 현상입니다. 여러분도 투자를 할 때 이런 관점을 적용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시장 가격을 단순히 숫자로만 보지 말고, 수백만 명의 지혜가 집약된 결과물로 바라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판단과 시장의 판단이 다를 때, 한 번 더 생각해보는 여유를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때로는 시장이 여러분이 놓친 무언가를 보고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참고 자료: Matt Cerminaro, “The Wisdom of Crowd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