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함을 피하고 명확함을 선택하라

0

투자의 세계에서 성공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복잡한 분석 기법이나 첨단 투자 전략을 떠올리겠지만, 워런 버핏은 정반대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려 하지 마라. 그런 문제가 있는 기업을 아예 피하라.

이 한 문장에 그의 투자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단순함의 힘

버핏과 그의 오랜 파트너였던 찰리 멍거는 25년간 버크셔 해서웨이를 이끌며 수많은 기업을 인수하고 관찰했습니다. 그들이 깨달은 것은 놀랍게도 문제 해결 능력이 아니라 ‘문제 회피 능력’이었습니다.

생각해보세요. 여러분이 투자를 고려 중인 두 기업이 있습니다. 하나는 어려운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지만 성공하면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업, 다른 하나는 탄탄한 브랜드와 충성 고객을 보유한 안정적인 기업.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전자의 높은 수익률에 현혹되기 쉽지만, 버핏은 후자를 선택합니다.

성공 사례로 증명된 철학

버핏의 이런 접근법은 그의 대표적인 투자 사례에서 잘 드러납니다. 씨즈 캔디, 코카콜라, GEICO 같은 기업들을 떠올려보세요.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강력한 브랜드 파워, 높은 고객 충성도, 그리고 무엇보다 ‘이해하기 쉬운’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씨즈 캔디는 프리미엄 초콜릿을 만들어 팔고, 코카콜라는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음료를 생산하며, GEICO는 자동차 보험을 제공합니다. 이들은 영웅적인 노력이나 획기적인 혁신 없이도 꾸준히 수익을 창출합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예외는 있지만, 원칙은 변하지 않는다

물론 버핏도 예외를 인정합니다. 그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와 GEICO의 일시적 위기 상황에서 투자해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들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버핏의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이 두 기업의 위기는 ‘일시적’이었고 ‘해결 가능한’ 성격이었습니다. 버핏은 이들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경쟁 우위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것을 파악했고, 단기적 어려움이 장기적 전망을 흐리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즉, 그는 드래곤과 싸우러 간 것이 아니라, 잠시 주춤한 강자가 다시 일어서는 것을 기다린 것입니다.

현대 시장에서의 적용: 복잡성의 함정

오늘날 투자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복잡합니다. 급격한 기술 변화, 지정학적 불확실성, 변동성 큰 시장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복잡한 전략이나 투기적 기회를 쫓기 쉽습니다.

하지만 역사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해줄까요? 복잡한 파생상품, 이해하기 어려운 비즈니스 모델, 과도한 부채를 안고 있는 기업들. 이런 곳에 투자한 사람들 중 상당수는 결국 자원을 낭비하고 손실을 입었습니다. 반면 명확한 경쟁 우위, 안정적인 현금 흐름, 이해하기 쉬운 성장 경로를 가진 기업에 투자한 사람들은 꾸준한 수익을 거뒀습니다.

버크셔의 기적: 단순함이 만든 성공

버크셔 해서웨이의 여정 자체가 이 철학의 산 증거입니다. 실패한 섬유 기업에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중 하나로의 변신. 이 놀라운 성과는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해서가 아니라, 해결 가능한 기회를 꾸준히 포착한 결과입니다.

버핏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투자와 사업의 성공은 거대한 장애물을 극복하는 영웅적 행위가 아닙니다. 오히려 이미 눈앞에 있는 명확한 기회를 인식하고, 불필요한 복잡성을 피하는 훈련에서 비롯됩니다.

여러분의 포트폴리오를 한번 살펴보세요. 혹시 이해하기 어려운 기업,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는 투자처가 있지 않나요? 버핏의 철학을 따른다면, 그것들을 정리하고 단순하고 명확한 기회에 집중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복잡함은 때로 깊이가 아니라 혼란의 다른 이름일 뿐입니다.

참고 자료: Barchart, “Warren Buffett Says Don’t Bother Investing in Companies Solving Hard Problems, ‘What We Have Learned Is to Avoid Them'”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