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성장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쉽고 재미있는 학습이 최선일까요? 아니면 어렵고 불편한 경험이 더 효과적일까요?
오늘은 학습과 성장의 본질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와 함께 우리가 불편함을 어떻게 성장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업 교육의 현실: 재미와 효능감에 집중된 접근법
여러분, 지금까지 참여했던 교육 프로그램을 떠올려보세요. 대부분 쉽고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지 않았나요? 현대 기업 교육의 목표는 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설정됩니다:
- 조직 내 중간관리자가 조직 창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학습해 업무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의사결정 과정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을 학습하여 기존 의사결정 방식에 적용해 개선할 수 있다.
- 몰입의 본질을 이해하고 자신의 직무에서 몰입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 대안을 실행하고 업무 몰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런 목표 설정은 모두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접근법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사례, 단순화된 토론,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요소를 통해 학습자들이 쉽게 몰입하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닥쳤을 때 우리는 흥미로운 현상을 목격했습니다. 거의 모든 기업 교육이 취소되었지만, 실제 조직 운영에는 현실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우리가 교육과 성장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게 만들었습니다.
불편함과 성장의 관계: 흥미로운 연구 결과
최근 코넬대학교와 시카고대학교의 연구진은 불편함을 추구하는 것이 개인 성장을 더 효과적으로 이끌어낸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케이틀린 울리(Kaitlin Wolley) 교수와 에일렛 피시바흐(Ayelet Fishbach) 교수는 2022년 4월 Psychological Science에 게재한 논문 “Motivating Personal Growth by Seeking Discomfort”에서 다섯 건의 일련의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했습니다.
즉흥 연기 수업 실험
연구진은 즉흥 연기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 스킬 향상 그룹(seek benefits): 교육의 목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점점 스킬이 는다고 느낀다면 교육이 잘되고 있다는 신호다. 당신의 목표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해 당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 불편함 추구 그룹(seek discomfort): 교육의 목표는 어색함과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다.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교육이 효과가 있다는 신호다. 따라서 당신의 목표는 심리적으로 편안한 영역에서 벗어나 어색한 상황에 당신을 노출시키는 것이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불편함을 추구한 학생들이 스킬 향상에 중점을 둔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학습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는 불편함이 학습과 성장에 있어 단순한 장애물이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촉매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건강 관련 기사 실험
연구진은 또 다른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코로나 관련 건강 기사를 읽도록 했습니다. 이때도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 불편함 추구 그룹: 기사가 어렵고 불편한 것이 당연하다고 인식했습니다.
- 학습 추구 그룹: 기사를 통해 무언가를 배우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불편함을 추구한 그룹이 더 열심히 기사를 읽으려는 의지와 행동을 보였습니다. 이는 불편함이 학습 동기 부여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견해 수용 실험
정치적 성향이 다른 뉴스 매체를 접하는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미국에서는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Fox News가, 공화당 지지자들에게는 뉴욕타임즈(NYT)가 반대 성향의 매체로 인식됩니다.
- 불편함 추구 그룹: 자신과 다른 견해가 불편할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고, 이를 통해 배울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 학습 추구 그룹: 서로 다른 견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놀랍게도 불편함을 추구한 그룹이 반대 성향의 뉴스를 더 열심히 읽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불편함을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이는 마인드셋이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불편함을 성장의 기회로: 마인드셋의 중요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긍정적 경험과 피드백이 동기부여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부정적 경험을 성장의 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더 큰 동기부여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긍정적 자극보다 불편함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자극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우리는 보통 세 가지 방식으로 대응합니다:
- 회피 또는 대항(fight or flight): 자극을 피하거나 맞서 싸우는 반응
- 완충(a spoonful of sugar): 스트레스 위에 긍정적 경험을 덧입히는 방식
- 재해석(reappraisal): 상황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마인드셋
이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세 번째, ‘재해석’입니다. 예를 들어,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 노래를 부르는 상황을 떨림을 ‘불안(anxiety)’으로 해석하는 대신 ‘흥분(excitement)’으로 재해석하면 스트레스를 덜 받고 실력 발휘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기업 교육과 개인 성장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 교육과 개인 성장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을 재고하게 만듭니다. 불편함 자체가 무조건 학습에 더 도움이 된다고 주장할 수는 없지만, 불편함을 학습 과정의 자연스러운 일부로 받아들이고 이를 통해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마인드셋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개인 성장 계획은 어떤가요? 단순히 쉽고 재미있게 구성되어 있나요, 아니면 적절한 불편함과 도전을 포함하고 있나요? 진정한 성장은 편안한 영역을 벗어날 때 시작됩니다. 불편함을 회피하지 말고, 오히려 그것을 성장의 신호로 받아들이는 마인드셋을 길러보세요.
미국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최적의 경험은 우리의 능력 한계에 도전할 때 발생한다”고 말했습니다. 여러분도 불편함을 두려워하지 말고, 그것을 통해 더 크고 의미 있는 성장을 이루어보길 바랍니다.
참고 자료: Woolley, K., & Fishbach, A. (2022). Motivating personal growth by seeking discomfort. Psychological science, 33(4), 51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