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빚투’가 문제로 지적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리하게 빚을 내서 투자하는 건 문제지만, 사실 빚을 내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알뜰살뜰 모은 돈에 은행에서 빌린 돈을 더해 집을 장만하고 있는 것을 떠올려보시기 바랍니다.
금융에서는 자본금을 지렛대 삼아, 더 많은 외부 자금을 빌리는 것을 두고 ‘레버리지라고 합니다. 즉, 적은 힘을 들여 더 큰 것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의 원리를 투자에 접목시켜 ‘레버리지’라고 부르는 것이죠.
예를 들어, 내가 가진 순자본이 2억 원이라면, 레버리지를 활용해 2억 원을 빌리면 총 4억 원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총 4억 원으로 투자해서 차익을 낸 뒤, 빌린 돈을 이자와 함께 상환하면 되는 것이죠. 그런데, 레버리지를 일으켜 투자하는 건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개인이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것보다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
공장을 세울 때
제조업 회사는 물건을 만들고, 판매해서 돈을 법니다. 이 과정에서 물건을 만드는 공장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공장을 짓는 데는 어마어마한 돈이 들어가죠. 실제로 대기업들이 건립한 공장들은 수조 원에서, 작은 규모의 공장 조차도 수천 억 단위로 자금이 투입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화성 공장은 10만 평 규모로, 약 6조 원이 투입됐습니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지난 2022년부터 청주에서 짓고 있는 반도체 공장에는 15조 원이 투입될 전망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천문학적인 자금을 기업이 어떻게 마련하는 걸까요?
우선, 자본을 조달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업 내부 자금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수익을 얻고 남은 돈, 즉 이익금은 투자나 공장 건설에 사용될 수 있어요. 이렇게 내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면 이자나 부채의 부담이 줄어들고, 기업은 자유롭게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는 주식 발행, 대출, 채무 발행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주식 발행을 통해 기업은 주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고, 대출은 은행이나 금융 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이자나 상환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계획되어야 합니다.
또한, 기업은 여러 자금 조달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부 이익금과 주식 발행, 대출을 조합하여 공장 건설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자금 조달 방법을 활용하면 공장 건설에 필요한 어마어마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됩니다.
공장 건설은 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중요한 단계이며, 자금 조달은 그 핵심입니다. 따라서 기업은 신중한 계획과 투자 전략을 갖추어 자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오늘은 가상의 사례를 들어 대출, 즉 ‘레버리지’를 일으켜 자금을 마련하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새 공장을 짓기 위한 시설자금 대출
이차전지 부품을 생산하는 A라는 회사는 시장의 흐름에 맞추어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해 새 공장 건립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새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땅, 건물, 그리고 기계와 장비를 구매해야 하며, 이러한 자본 투자로 약 6,500억 원의 자금이 필요합니다.
A사는 현재 보유한 현금 자금 1,500억 원과 함께 은행으로부터 5천억 원을 대출받아 이 자금을 마련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큰 규모의 대출은 은행 입장에서 상당한 리스크를 수반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큰 금액을 대출하는 경우에, 은행은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싶어합니다. 이를 위해 두 개 이상의 은행이 협력하여 대출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신디케이티드 론‘이라고 합니다.
A회사의 경우, 이 시설자금 대출을 위해 4개 은행이 신디케이션을 구성하여 자금을 제공했습니다. 이로써 A사는 신규 공장 건립을 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수요 증가에 대응하며 성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영향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시설자금 대출은 기업이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자본을 조달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대출을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사회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족한 유동서을 위한 운영자금 대출
기업은 공장 설립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 외에도 지속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돈을 벌어서 그 돈을 사용하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그게 그렇게 쉽지는 않습니다.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일시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에서 유용한 옵션 중 하나가 운영자금 대출입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가령, A사의 새로운 공장이 완공되면서 부품 생산에 더 많은 원자재가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직원들도 대거 채용되었을 것입니다.
돈이 다양한 곳으로 나가게 되면서 A사는 일시적으로 현금 흐름이 부족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제품을 판매하더라도 돈이 들어오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면서 즉시 현금을 받지 않고, 대신 ‘제품 판매 대금을 일정 기간 내에 현금으로 지급하겠다는 약속’을 나타내는 매출채권을 발행합니다. 이렇게 되면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A사는 은행 등 금융 기관으로부터 운영자금을 대출받아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매출채권이 현금으로 변환되면서 A사의 유동성도 점차적으로 회복됩니다.
운영자금 대출은 기업이 일시적인 현금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본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금융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하며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부채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닙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재무 상태를 평가할 때, 부채비율을 주요 지표 중 하나로 고려합니다. 이 비율은 부채 총계를 자본 총계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으로, 일반적으로 200% 정도면 안정적인 수준으로 여겨집니다. 즉, 기업이 보유한 ‘진짜 내 돈’을 기준으로 약 200%의 부채까지는 안정적인 재무 상태로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부채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기업이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출을 활용하는 것이 필연적일 수 있기 때문이죠. 새로운 공장 건설, 신규 인원 채용, 원자재 구매량 증가 등 기업의 성장에는 다양한 비용과 자본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채를 활용하면, 마치 지렛대처럼 작용하여 더 큰 투자와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습니다.
즉, 적절히 계획된 부채는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올바르게 관리되고 상환 계획이 철저히 수립된 부채는 기업이 재무 구조를 최적화하고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부채를 활용함으로써 기업은 기회를 포착하고 성장할 수 있으며, 이는 종종 주주와 투자자에게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부채는 ‘적절하게’ 활용될 때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작용하며, 그 자체로는 나쁜 것이 아닙니다. 단, 부채의 관리와 사용은 신중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재무 상태와 상환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