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비어 있어, 쓰임에 끝이 없다.

0

도덕경 제4장

도덕경 원문

道沖, 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湛兮似或存.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도덕경 해석

도는 비어있어, 그 쓰임에 끝이 없다.

그 깊음은 마치 만물의 으뜸인 듯 하다.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고, 엉킨 것을 풀어주며,

눈부신 빛을 누그러뜨리고, 티끌과 하나가 된다.

그윽함이 마치 존재하는 듯 하다.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상제보다는 먼저 있었던 듯하다.

도덕경 해설

도는 비어있어, 쓰임에 끝이 없다.

道沖, 而用之或不盈.

도는 비어있어, 그 쓰임에 끝이 없다.

도는 본래 비어 있는 것이고, ‘비어 있음’은 한 쪽으로 치우침 없이 ‘중심’을 지키는 것과 같습니다. 도는 비어 있지만 오히려 그 쓰임은 무궁무진한데, 비어 있기 때문에 무한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즉, 도는 형체나 형상이 없기 때문에 비로소 쓰임이 무궁무진 할 수 있는 것이고, 형체를 가진 것은 오히려 쓰임이 유한적이기 마련인데, 노자는 도를 말할 때 종종 ‘그것이 무엇인지 설명하지 않고 그것이 무엇이 아닌 지’를 역설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문장도 역시 ‘‘는 비어 있어 볼 수 있거나 만질 수 있는 형체가 아님을 나타내고 있는데, ‘‘은 비어 있음을 뜻하는 말로, 뒤에 나오는 ‘찰 ‘이라는 글자와 대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기업은 어떻게 경영을 해야 할까요? 기업을 경영하는 가장 고차원적이고 현명한 방법은 ‘무형’의 방식으로 경영하는 것입니다. 이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법률이나 규칙이 필요하기는 하지만 이는 부차적인 수단에 불과할 뿐으로, 이런 것들이 기업을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리는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즉, 무형의 가치뛰어난 기업 문화, 훌륭한 기업가 정신으로 경영을 하는 기업이 이라면, 이런 기업의 직원들은 스스로 기업의 발전을 위해 창조력과 적극성을 발휘하게 되고, 이런 기업이야 말로 오랫동안 무너지지 않고 번영할 수 있는 위대한 기업이 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 깊음은 만물의 으뜸이다.

淵兮似萬物之宗.

그 깊음은 마치 만물의 으뜸인 듯 하다.

湛兮似或存.

그윽함이 마치 존재하는 듯 하다.

“깊음이 마치 만물의 으뜸인 듯 하다.”라는 문장과 “그윽함이 마치 존재 하는 듯 하다.”라는 문장은 결국 도의 본체는 비어 있지만, 그 쓰임은 무한한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습니다. 즉, 비어 있는 본체인 도는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닌, 무한한 역량과 창조적 역량을 함축한 상태로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마치 ‘그윽함’ 처럼 그 깊이를 알 수 없어, 있는 듯 없는 듯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노자는 도에 대해 종종 ‘물 ‘와 ‘계집 ‘를 가진 글자로 표현하는데, 이는 사물 가운데서는 ‘물’이 가장 도에 가깝고, 사람 가운데서는 소녀가 가장 도에 부합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노자에 따르면, 도는 깊을수록 그 쓰임도 커지는데, 만약 도를 색깔로 나타낸다면 너무나 깊기 때문에 검은 색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여기서 현대의 우리들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은 깨끗함과는 거리가 먼 색상으로 알고 있지만, 옛사람들은 물을 종종 검은색으로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즉, 검은색은 물의 그윽함과 깊음, 신비로움을 표현하는 색으로서, 그 역할은 무한하고, 다양한 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물은 가장 낮은 곳에 있고, 가장 깊은 것으로서, 그 깊음은 현대 과학으로도 여전히 측정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노자는 ‘그윽함’도 이와 같이 깊다는 뜻으로 사용하였고, ‘도’ 역시도 이런 ‘그윽함’ 때문에 마치 존재하는 듯, 존재하지 않는 듯하다고 말한 것입니다.

날카로움을 무디게 한다.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날카로움을 무디게 하고, 엉킨 것을 풀어주며,

눈부신 빛을 누그러뜨리고, 티끌과 하나가 된다.

이 문장은 대중과 조화를 이룰 뿐 재능을 모두 드러내어 뽐내지 않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몸은 세상에 있어도 마음은 세상 밖에 있는 것처럼 가까움과 멂, 귀함과 천함, 이로움과 해로움의 관계가 사라지고, 현묘하여 모두와 조화를 이루게 되면 ‘현동’의 경지에 이를 수 있습니다.

노자는 종종 도에 부합한 것을 ‘‘이란 글자로 표현하는데, 이는 도가 현묘하고도, 현묘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자는 모든 것이 구분됨 없이 혼연일체 된 상태를 ‘현동’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즉 ‘현동’은 도에 동화된 상태로 최고의 경지를 뜻하는 것입니다. 장자는 이러한 사상을 한층 더 발전시켜 <제물론>에서 “천지도 나와 나란히 살고, 만물도 나와 하나이다.” 라는 문장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상제보다는 먼저 있었던 듯하다.

吾不知誰之子,

象帝之先.

나는 그것이 누구의 자식인지는 알지 못하지만,

상제보다는 먼저 있었던 듯하다.

이 문장은 도가 어디서부터 유래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천제 이전에 탄생한 것 같다는 뜻으로, 옛사람들은 ‘상제‘ 또는 ‘천제‘가 우주 전체의 유형적 사물을 주재하는 존재라고 생각했습니다.

장자는 “도는 똥이나 오줌 속에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세상의 모든 만물에 도가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또 불가에서는 세상 만물과 모든 일에는 모두 불성이 있어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 역시 ‘도가 없는 곳이 없을 만큼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사상과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ilogue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에서는 도덕경 4장의 내용을 道沖而用之이라는 한자어로 함축하고 있는데, “새로 비워야 혁신을 시작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합니다.

혁신의 관건은 스스로를 비우는 것이다. 과거의 명성을 비우고 적을 비워야 새로운 것을 채울 수 있다. 코닥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필름 시장의 80퍼센트 이상을 점유했지만, 경쟁 상대가 없었던 코닥은 1980년대부터 무너지기 시작했는데, 스스로를 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바슈롬은 선글라스의 대명사로 불리던 레이벤을 만들어 히트시킨 기업으로, 두 번째로 히트시킨 상품은 콘택트 렌즈다. 포스트잇, 스테이플러처럼 제품 이름이 고유명사가 되었을 정도로 콘택트렌즈는 대박을 터뜨렸지만, 일회용 콘택트렌즈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던 바슈롬은 가장 많은 수입을 올리던 세정액 판매 수익을 포기할 수 없어 제품화를 하지 않았다. 이 틈을 비집고 존슨앤존슨의 자회사인 비스타콘은 일회용 콘택트렌즈인 아큐브를 내놓았고, 단숨에 콘택트렌즈 시장 1위에 등극했다.

책 <실리콘밸리로 간 노자> 중에서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