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살 때 단 6분의 연구면 충분할까요?

0

여러분은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연구에 투자하시나요? 놀랍게도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단 6분이라는 짧은 시간만 투자한다고 합니다.

뉴욕 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의 최신 연구 결과는 투자 세계의 숨겨진 진실을 드러냅니다. 오늘은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충동적 매수 행태와 그것이 투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xels

충격적인 연구 결과: 6분의 의미

뉴욕 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의 토마스 라리츠와 제프리 워글러 교수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중위 투자자는 주식을 매수하기 전 단 6분만 연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 충격적인 사실은 이 짧은 시간의 대부분이 당일 주가 움직임과 최근 주가 차트를 살펴보는 데 할애된다는 점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수하기 전에 매우 짧은 시간(약 6분)만 연구하는 충동 구매자에 가깝습니다. 게다가 이 시간의 대부분은 최근 주가 차트와 당일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는 데 사용되며, 위험 통계 수치나 재무 기본 요소를 검토하는 데는 더 적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워글러 교수는 이 현상에 대해 중요한 관점을 제시합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주식을 거래하기 전에 꽤 깊이 연구 조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훨씬 더 많은 투자자들은 주식을 사기 전에 연구 조사에 거의 시간을 들이지 않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개인 투자자들의 실제 행동이 경제학자들이 가정하는 합리적 의사결정 모델과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보여줍니다.

800만 건의 클릭 데이터 분석

이 연구는 단순한 설문조사가 아닌 실제 투자자들의 온라인 행동을 분석한 것이라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클릭스트림 데이터’라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했는데, 이는 수백 명의 대표적인 개인 투자자들의 브라우저 전체 기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구자들은:

  • 800만 건 이상의 클릭
  • 6만 시간 이상의 인터넷 사용 데이터

를 분석하여 투자자들이 어떤 웹페이지를 방문했는지, 어떤 순서로,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이 놓치는 중요한 부분

연구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은 중요한 투자 요소들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 위험 통계 수치 분석: 중위 투자자는 전체 연구 시간의 단 1%(약 6초)만 위험 통계 수치를 검토하는 데 사용합니다.
  • 재무 기본 요소 분석: 연구 시간의 단 14%만이 기업의 수익, 배당금, 기타 재무 기본 요소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 단기 차트 의존: 투자자들이 보는 차트의 73%는 하루 또는 그 이하의 기간만을 보여주는 초단기 차트입니다.

워글러 교수는 “합리적 투자자라면 최소한 변동성 같은 위험 통계 수치를 분석한 후에만 주식을 매수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특히 “포트폴리오가 분산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기본적인 연구 조사는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충동 매수의 경제적 대가

이런 충동적인 투자 행태는 실제로 투자자들의 수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하스 경영대학원의 테런스 오딘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 관심 기반 매수의 함정: 개인 투자자가 매수하는 평균 주식은 매도하는 평균 주식보다 성과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 뉴스 효과의 역설: 투자자들은 뉴스에 등장한 주식을 과도한 프리미엄에 매수하는 경향이 있어 성과가 저조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 리스폰더의 나르딘 베이커는 이런 현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가장 좋은 성과를 내는 주식들은 종종 너무 지루하고 흥미롭지 않아서,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나 언론들이 관심을 갖고 쓰려고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자들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가진 주식에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실적인 투자 방법 개선하기

완벽한 주식 선택이 불가능하더라도, 우리는 충동적인 행동을 줄임으로써 투자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 최소 연구 시간 설정: 주식 매수 전 최소 30분 이상의 연구 시간을 확보하세요.
  • 체크리스트 활용: 위험 통계, 재무 기본 요소, 산업 동향 등 주요 요소를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활용하세요.
  • 정보 다각화: 단순히 주가 차트와 당일 뉴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 소스를 참고하세요.
  • 투자 일지 작성: 매 거래마다 이유와 판단 근거를 기록하여 나중에 검토할 수 있도록 하세요.
  • 충동 억제 시간: 주식 매수 결정과 실제 주문 사이에 ‘냉각 기간’을 두어 충동적인 결정을 줄이세요.

유명 투자자들의 철학에서 배우기

워런 버핏은 “절대 이해하지 못하는 사업에 투자하지 말라”고 조언했습니다. 피터 린치는 “주식은 심벌이 아닌 사업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의 철학은 모두 충분한 연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 투자의 중요성을 말해줍니다.

결론: 더 나은 투자자가 되기 위한 여정

투자는 마라톤이지 단거리 경주가 아닙니다. 6분의 짧은 연구로는 복잡한 금융 시장에서 좋은 결정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더 나은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와 분석, 그리고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투자 습관은 어떤가요? 충분한 시간을 들여 연구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6분 투자자 그룹에 속해 있으신가요? 지금부터라도 투자 습관을 개선한다면, 더 나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The Wall Street Journal, “Many Investors Spend Six Minutes or Less Researching Stock Buy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