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의 첫걸음은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 대충 시작하는 것

0

완벽주의가 우리를 가두는 방식

살바도르 달리는 “완벽하려 하지 마라. 어차피 완벽할 수 없을 테니까”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이 단순한 위안이 아닌 깊은 통찰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종종 중요한 일을 앞두고 엉뚱한 곳에 에너지를 쏟습니다. 시험공부를 하려다 책상 얼룩을 완벽하게 지우는 데 몰입하는 것처럼 말이죠. 이는 완벽주의가 만들어내는 교묘한 회피 메커니즘입니다.

완벽의 어원이 말하는 진짜 의미

‘완벽(完璧)’이라는 단어는 ‘완전한 구슬’을 의미하며, 조나라의 인상여가 진나라로부터 화씨지벽이라는 명옥을 흠집 없이 되찾아온 과정에서 유래했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구슬 자체가 완벽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되찾아오는 과정이 완벽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현대인들이 놓치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결과만을 바라보며 과정을 건너뛰려 합니다. 마치 자신의 그림자를 앞서가려는 것과 같은 오만함이죠.

실리콘밸리 성공 사례: 계획 없는 시작의 힘

유튜브 채널 ‘EO’ 운영자의 사례는 완벽한 계획 없이도 얼마나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여러 번의 창업 실패 후 수중에 남은 돈으로 실리콘밸리로 떠날 때, 그에게 있었던 것은 카메라와 삼각대, 그리고 한국 커뮤니티에 남긴 도움 요청 메시지가 전부였습니다.

공항에서 촬영한 첫 영상부터 시작해 현재 36만 구독자를 보유한 채널로 성장한 그의 여정은 중요한 교훈을 던집니다. 완벽한 계획보다는 용기 있는 시작이 더 중요하다는 것 말입니다.

완벽주의의 정체: 누구를 위한 완벽인가?

도올 김용옥 선생은 “완전은 불완전보다 하위 개념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완벽을 추구할수록 우리는 불완전해지고, 불완전성을 인정할 때 진정한 성장이 시작됩니다.

완벽주의는 결국 자신이나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이런 욕구가 오히려 시작을 방해하는 장벽이 됩니다.

과정 중심 사고의 실질적 효과

필자의 출간 경험을 보면 이런 현상이 명확해집니다. 첫 책 출간 후 ‘완벽한’ 목차를 세워 기획한 두 번째 책은 아직도 출간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면 편하게 써 내려간 글들이 출판사 제의를 받아 연달아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이는 과정에서 오는 결과가 때로는 완벽하게 계획된 것보다 더 양질의, 다량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벌이고 수습하는 전략의 위력

‘벌인다’는 의미는 완벽함을 전제로 하지 않습니다. 글쓰기 프로젝트나 강의 기획을 할 때 완벽한 콘텐츠를 준비하고 시작하지 않았지만, 벌여놓은 일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100% 이상의 능력을 끌어낼 수 있었습니다.

벌이고 수습하지 못하면 사기꾼이 되기 때문에, 정해진 기한과 의무감, 그리고 해내고야 말겠다는 열정이 완벽함을 넘어서는 순간을 만들어냅니다.

현인들의 지혜: 완벽주의에 대한 경고

  • 레프 톨스토이: “완벽을 추구하는 한, 마음의 평안은 결코 얻을 수 없을 것이다”
  • 조지 피셔: “완벽이라는 과녁을 향해 쏜다면, 그것은 움직이는 타깃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스티븐 호킹: “기대치를 0으로 줄이는 순간,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의 말은 완벽주의가 가져오는 폐해를 정확히 짚어냅니다. 움직이는 타깃을 향해 화살을 쏘는 것과 같은 무의미함 말이죠.

대충 시작하기의 실질적 장점

대충이라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 자신의 부족함을 인식하게 됩니다
  •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성장이 일어납니다
  • 시간이 내 편이 됩니다

인정 욕구에서 벗어나기

웨인 다이어는 “타인의 의견은 당신에 대한 현실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인정받으려는 욕심이 되도 않는 완벽을 자꾸만 불러내기 때문입니다.

완벽주의는 결국 외부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됩니다. 하지만 진정한 성장은 불완전한 시작에서 출발합니다.

완벽보다는 완성을 향해

완벽은 환상입니다. 하지만 완성은 현실입니다. 대충 시작하더라도 꾸준히 나아가는 것이 완벽한 계획을 세우고 시작하지 못하는 것보다 훨씬 가치 있습니다.

여러분도 지금 당장 시작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완벽한 준비를 기다리지 마세요. 대충이라도 시작하는 용기가 여러분을 성공으로 이끌 것입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