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28세 창업가가 개발 지식 없이도 월 4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AI 서비스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믿으시겠습니까? 더 놀라운 것은 VC 투자 한 푼 받지 않고, 10명도 안 되는 팀으로 이뤄낸 성과라는 점입니다.
오늘은 데이빗(David)이라는 젊은 창업가가 10년간의 끈질긴 도전 끝에 AI 논문 작성 도구 ‘Jenni AI’로 거둔 놀라운 성공 스토리를 살펴보겠습니다. 그의 여정에는 현대 창업가들이 꼭 알아야 할 핵심 인사이트가 담겨 있습니다.
10년간의 실패가 만든 단단한 기초
16세부터 시작된 창업 여정
데이빗의 창업 이야기는 16세 때 시작한 티셔츠 브랜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첫 사업은 실패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18세부터 본격적인 창업 도전을 시작하며 크립토, 데이팅 앱, 새로운 SNS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냉혹했습니다. 22세가 될 때까지 6년 동안 성공이라고 부를 만한 결과는 전혀 없었죠. 대부분의 사람들이라면 이미 포기했을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나 데이빗에게 이 시간들은 실패가 아닌 소중한 학습 과정이었습니다.
GPT-2와의 운명적 만남
2019년, 23세의 데이빗은 대학교에서 만난 개발자 친구와 GPT-2를 접하게 됩니다. “세상에서 가장 어두운 건 무엇이야?”라는 질문에 “똥꾸멍”이라고 답한 GPT-2의 엉뚱한 매력에 빠진 그는 “이걸로 뭐든 만들어봐야겠다”고 결심합니다.
이때의 직감이 훗날 연매출 50억원짜리 사업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도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하는 눈이 있었던 것이죠.
Jenni AI의 진화 과정: 실패에서 배운 제품 개발 철학
첫 번째 시도: B2B SEO 도구
초기 Jenni AI는 검색 엔진 최적화된 글을 AI가 작성해주는 B2B 서비스였습니다. 데이빗은 수많은 콜드 메일을 보내며 초기 고객을 확보했고, 월 40만원 정도의 매출에서 시작해 점진적으로 월 200만원까지 성장시켰습니다.
하지만 이 수준의 매출로는 지속 가능한 사업이 될 수 없었습니다. 무언가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했죠. 이때 데이빗이 택한 방법은 ‘고객과의 직접적인 소통’이었습니다.
페이스북 그룹 침투 작전
데이빗은 글쓰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페이스북 그룹에 들어가 천천히 사람들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목표는 명확했습니다. 실제 사용자들이 글쓰기에서 어떤 부분을 가장 고통스러워하는지 파악하는 것이었죠.
이 과정은 쉽지 않았습니다. 커뮤니티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진정성 있는 대화를 이끌어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이 노력을 통해 두 가지 중요한 발견을 하게 됩니다.
성공의 열쇠: 고객 인사이트의 힘
발견 1: 기능의 집중화
Jenni AI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사용자들이 가장 열광하는 것은 단 하나였습니다. 바로 AI가 추천해주는 단어를 통해 문장을 완성시켜주는 ‘Auto Complete’ 기능이었습니다.
이는 많은 창업가들이 놓치기 쉬운 중요한 교훈을 보여줍니다. 더 많은 기능이 항상 더 좋은 제품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사용자들이 진짜 원하는 핵심 기능 하나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죠.
발견 2: 타겟 고객의 명확화
두 번째 발견은 더욱 구체적이었습니다. 다양한 잠재 고객 중에서 대학원에서 논문을 작성하는 학생들이 Jenni를 가장 좋아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이들은 다른 사용자 그룹보다 훨씬 강한 애착을 보였고, 실제로 돈을 지불할 의향도 높았습니다.
데이빗은 즉시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려던 범용 도구에서 논문 작성이라는 특정 용도에 특화된 뾰족한 도구로 제품을 재포지셔닝했습니다.
바이럴 마케팅의 골든타임을 잡다
트위터 인플루언서의 우연한 도움
제품이 날카로워지는 과정에서 행운이 찾아왔습니다. 한 트위터 인플루언서가 AI 서비스 리스트에 Jenni를 포함시켜 소개했고, 이 포스팅이 폭발적인 바이럴을 일으켰습니다. 수백만 명이 Jenni를 알게 되었죠.
하지만 데이빗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AI 서비스가 SNS에서 바이럴되기 좋다는 사실을 파악한 그는 본격적인 숏폼 마케팅에 나섰습니다.
2023년 숏폼 마케팅의 황금기
데이빗이 틱톡과 인스타그램 숏폼에 집중한 2023년은 마케팅 관점에서 완벽한 타이밍이었습니다. AI 서비스는 그 자체로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기 때문에 숏폼 콘텐츠로서 제격이었죠.
학생 인플루언서들을 섭외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한 결과, 숏폼을 시작한 첫 달에만 7억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운이 아니라 시장의 타이밍을 정확히 읽은 전략적 판단의 결과였습니다.
당시 틱톡에서 서비스를 홍보하는 회사는 적었지만, 시청자는 많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지 않았던 것이죠. 2024년이 되자 이 기회는 사라졌습니다. 숏폼 효과에 대한 소문이 퍼지면서 경쟁이 훨씬 심해졌거든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본질적 개선
바이럴 마케팅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후, 데이빗은 본질적인 부분을 단단하게 만드는 데 집중했습니다. 구글 검색 최적화(SEO)를 통해 자연스러운 유입을 늘리고, 퍼널 전환율을 개선하며, 효율이 검증된 유료 마케팅에 더 많은 투자를 집행했습니다.
이런 체계적인 접근 덕분에 2024년 2월, Jenni AI는 10명 미만의 팀으로 월 매출 4억원을 넘어서게 됩니다. 연매출 50억원이 넘을 전망이며, VC 투자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분을 데이빗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성공 뒤에 숨겨진 인사이트
정체기를 견디는 멘탈의 힘
데이빗은 인터뷰에서 2년 넘게 월 매출 200만원에서 정체된 시기가 가장 힘들었다고 고백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회사를 접고 학교로 돌아가서 교실에 앉아 문학을 공부하는 일상이 더 끔찍할 것 같았다”며 포기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적지만 꾸준한 고객층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그들의 피드백을 듣고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했던 것이죠.
비개발자 창업가의 생존 전략
코딩을 할 수 없는 창업가로서 데이빗은 명확한 전략을 세웠습니다. Y Combinator의 폴 그레이엄이 말한 스타트업 성공의 3요소 중 개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두 분야에서 정말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죠.
- 개발을 할 수 있는 사람
-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사람
- 돈을 끌어올 수 있는 사람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고 강점에 집중하는 이런 접근법이 결국 성공의 열쇠가 되었습니다.
현대 창업가들을 위한 핵심 교훈
1. 하루아침 성공은 없다: 실패의 누적이 만든 성공
어린 나이에 성공한 창업가를 보면 하루아침에 성공한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데이빗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성공 뒤에는 수많은 실패와 학습의 시간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10년간의 크고 작은 실패들이 쌓여서 마침내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낸 것이죠. 조금 더 일찍 도전하고 실패했기에, 더 어린 나이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2. 작고 뾰족한 제품의 힘
많은 창업가들이 처음부터 큰 시장을 겨냥하려다가 실패합니다. 또는 타겟 고객이 정확히 어떤 문제에 고통받는지 파악하지 못해 애매한 제품을 만들죠.
데이빗은 수많은 고객 인터뷰를 통해 Jenni가 해결하는 문제에 가장 크게 고통받는 사람들을 찾아냈습니다. 제품을 뾰족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이런 깊이 있는 고객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3. 마케팅 황금기를 포착하는 안목
2023년의 숏폼은 마케팅의 황금땅이었습니다. 공급자는 적고 수요자는 많은 완벽한 기회의 창이었죠. 노션 템플릿으로 성공한 Easlo나 틱톡에서 섹스 초콜릿을 판 Oliver도 같은 시기에 비슷한 성과를 거뒀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회는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2024년에는 경쟁이 훨씬 치열해졌죠.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빠르게 포착하고 실행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창업 여정에 주는 메시지
데이빗의 성공 스토리가 주는 가장 큰 교훈은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고객 중심적 사고’의 힘입니다. 10년간의 실패를 거쳐 마침내 찾아낸 성공 공식은 결코 운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최악의 질문은 제품을 보여주면서 ‘어떤 것 같아요? 쓰고 싶나요?’라고 묻는 것이에요. 타겟 유저에게 다가가서 그들이 실제로 어떻게 일하는지, 어떤 부분이 정말 귀찮고 짜증나는지를 알아내야 해요.
여러분도 창업이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면, 화려한 기능보다는 진짜 고객의 문제를 깊이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모든 실패는 성공을 위한 소중한 디딤돌이 될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