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들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투자 철학
오넷 콜먼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아마 대부분 생소하실 텐데, 이 재즈 뮤지션(1930-2015)은 투자자 여러분에게도 귀중한 교훈을 남겼습니다. 콜먼은 의도적으로 재즈의 전통적인 규칙을 깨뜨리는 ‘프리 재즈’로 유명했는데, 많은 순수주의자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팬들은 점차 깨달았습니다. 콜먼이 규칙을 어길 수 있었던 건 바로 그 규칙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요.
피카소의 유명한 말처럼 말입니다:
프로처럼 규칙을 익혀서, 예술가처럼 규칙을 어길 수 있도록 하라.
투자에도 존재하는 ‘재즈의 원리’
금융과 투자의 세계에서도 이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이를 ‘금융의 재즈’라고 부를 수 있겠네요. 확립된 투자 원칙들의 복잡성을 완전히 이해할 때, 비로소 그 경계를 탐색하고, 때로는 창의적으로 벗어날 수 있는 지혜를 얻게 됩니다.
무지한 규칙 위반 vs 지혜로운 규칙 위반
여러분도 일상에서 규칙을 어겨본 적이 있을 겁니다. 더 영리하거나 편리하거나, 혹은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말이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무지한 상태에서의 규칙 위반은 재앙을 불러온다는 점입니다.
고속도로 운전을 생각해보세요. 제한속도 80km 구간에서 85km로 달리는 것과 120km로 달리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위험을 수반합니다. 전자는 상황을 파악한 선택이고, 후자는 무모한 도박이죠.
비트코인 투자에서 보는 ‘재즈 정신’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편입하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전통적인 투자 원칙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명백한 규칙 위반입니다:
- 수익을 창출하지 않는 자산
- 극도의 변동성
- 예측 불가능한 가치 변동
하지만 이런 위험을 완전히 이해한 상태에서 포트폴리오의 5% 미만으로 제한한다면? 이는 피카소가 말한 ‘예술가적 규칙 위반’에 해당합니다. 최악의 경우 0이 되더라도, 전체 포트폴리오에 치명적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혁신적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죠.
도지코인 광풍에서 본 무지한 규칙 위반
반대로 언론 보도에 휩쓸려 저축한 돈을 도지코인에 쏟아붓는 투자자들을 보면 어떤가요? 이들은 재즈를 연주하는 게 아닙니다. 리드가 없는 색소폰을 맹렬히 불고 있는 것과 같죠. 속도위반 단속카메라나 더 큰 위험이 기다리고 있다는 걸 전혀 모른 채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 위한 2단계 전략
1단계: 규칙을 철저히 학습하라
먼저 투자의 기본 원칙들을 완벽히 숙지해야 합니다. 훌륭한 금융 서적들을 읽고, 전문가들의 분석을 듣고, 시장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세요. 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들을 확실히 이해해야 합니다:
- 분산투자의 원리와 한계
- 위험과 수익의 관계
- 시장 효율성 이론
- 가치투자 vs 성장투자
- 시장 심리와 행동경제학
2단계: 편안해진 후 창의적으로 접근하라
기본 규칙들에 매우 편안해졌다면, 이제 그 경계를 시험해볼 차례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규칙의 장단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실패하더라도 놀라지 않을 정도로 말이죠.
예를 들어:
- 집중투자: 분산투자 원칙을 어기되, 자신이 완벽히 이해하는 소수 기업에 집중
- 역발상 투자: 시장 심리를 역행하되, 충분한 근거와 함께
- 성장주 프리미엄 지불: 높은 밸류에이션을 감수하되, 미래 성장성에 대한 확신과 함께
투자 철학의 본질: 지식 기반의 창의성
결국 투자에서 중요한 건 맹신적인 규칙 준수도, 무모한 규칙 위반도 아닙니다.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창의적 접근이야말로 장기적 성공의 열쇠입니다.
오넷 콜먼이 프리 재즈로 음악사에 혁신을 가져온 것처럼, 투자에서도 기존 관념을 뛰어넘는 통찰력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전제 조건은 변하지 않습니다:
먼저 규칙을 완벽히 이해하라.
여러분도 투자의 ‘재즈 연주자’가 되어보시는 건 어떨까요? 단, 리드 없는 색소폰이 아닌, 완벽한 기초 위에서 창의적인 선율을 연주하는 진정한 예술가로 말입니다.
참고 자료: The Best Interest, “The Jazz of Personal F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