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 시대를 시작으로 인류 사회의 경제 구조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고대 유적과 유물에서 드러난 부의 불평등 현상은 단순히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고대 사회와 부의 불평등
고고학적 자료와 연구 결과를 통해,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에도 이미 부의 불평등 현상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덤의 부장품, 거주지의 크기, 토지 면적, 그리고 곡물 저장 시설 등 다양한 지표를 토대로, 인류가 약 10,000년 전부터 부의 불균형을 경험해왔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계층 구조와 경제적 차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재구성하였으며, 그 결과 부의 불평등 정도는 일정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농업 혁명과 경제 구조의 변화
약 6,000년 전, 농업이 발명되면서 인류는 유목 생활에서 정착 생활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구조에는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였습니다.
- 곡물 비축과 자본의 등장: 정착한 농부들은 기후 변화와 자연 재해에 대비하여 곡물을 비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초기 형태의 자본 축적으로 연결되었으며, 농부들은 곧 가축을 기르며 부를 더욱 다양하게 저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기술 발전과 생산성 향상: 쟁기 등의 도구가 발명되면서 육체 노동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장비나 기술을 활용한 생산성이 향상되었고, 이는 부의 축적과 계층화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 국가 형성과 사회 계층의 고착: 사람들이 마을과 도시를 형성하면서 자연스럽게 국가가 등장하였고, 국가 권력은 부유한 계층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권력의 장악과 부의 방어를 위한 체계가 마련되면서, 사회 내 불평등은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 노예 제도의 도입: 부를 축적한 일부 계층은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노예 제도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부의 원천을 다양화하고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대부터 이어진 부의 불평등은 결국 오늘날에도 0.7 수준에 육박하는 불평등 지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와의 연결 고리
2,000년이 지난 현대 사회에서도 부의 불평등은 여전히 큰 사회적 이슈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유럽, 일본, 호주 등 여러 선진국에서 과거의 경제 구조가 남긴 그림자는 여전히 현존하며, 일부 국가는 그 불평등이 더욱 심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대부터 이어진 경제적 불균형의 역사는 오늘날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고대 인류의 경제적 변화와 부의 불평등 현상을 통해, 인류 사회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그 발전 과정 속에서 어떤 사회적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통찰은 현대 사회의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자료: Klement on Investing, “Capitalism creates inequality: Stone age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