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투자자가 수익을 올리는 상승장에서도 손실을 보는 투자자들이 있습니다. 2023년처럼 대부분의 자산이 강세를 보인 해에도 말이죠. 과연 어떤 실수들이 투자자들을 실패로 이끄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망하기 어려웠던 한 해
2023년은 투자하기 좋은 해였습니다. 주식시장은 급등했고, 채권도 특히 하반기에 강세를 보였습니다. 해외 주식시장 역시 랠리를 펼쳤고, 비트코인은 극적인 반등을 보여주었습니다.
무엇을 하고 있는지 전혀 몰랐더라도, 한 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포트폴리오의 모습에 꽤 만족하셨을 겁니다. 2023년은 너무 심하게 망하기 어려운 해였습니다.
하지만 정말 나쁘게 행동한다면 가능했습니다. 올 한 해를 망친 분이 있다면, 아마도 다음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첫 번째 함정: 과도한 매매
빈번한 거래가 수익을 갉아먹는다
과도한 매매는 어느 해든 투자를 망치는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특히 2023년처럼 결국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그 과정에서 두 번의 뚜렷한 조정이 있었던 해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3월의 은행 시스템 위기와 8-10월의 채권 금리 공황 등 변동성이 컸던 시기에 더 많이 매매할수록 결과는 더 나빠질 수 있었습니다.
반대 전략의 힘
내년에 시도해 볼 만한 흥미로운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번에 주식을 매수할지 매도할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어느 쪽도 하지 않고 그냥 가만히 있어보세요.
아니면 몇 달 후로 미뤄두는 방법도 있습니다. 매도했더니 이후 주가가 급등한 모습을 보는 것과 매도하지 않았더니 주가가 하락한 모습을 보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마음 아플까요?
이러한 결정은 순수한 “위험 vs. 보상”의 관점이 아니라 “후회를 최소화한다”라는 렌즈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두 번째 함정: “스마트 머니” 맹신
다른 게임을 하는 사람들
이미 시장에서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인 똑똑한 사람들은 우리와 위험 프로파일이 다르고, 재정적 목표도 다릅니다. 그들이 하는 게임은 우리의 게임과 다릅니다.
마이클 버리의 베팅과 그 결과
“빅 쇼트”로 유명한 마이클 버리가 2023년 8월 S&P 500과 나스닥 100 지수 하락에 16억 달러 이상을 베팅했다는 뉴스가 대서특필됐습니다. 포트폴리오의 90% 이상을 주식시장 하락에 베팅하는 데 사용했죠.
하지만 그 이후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주식시장은 사상 최고치를 향해 치솟았습니다. 버리의 말을 듣고 주식을 팔았다면, 이제 사상 최고치에서 다시 매수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하게 됩니다.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일관된 부정론
천재적인 트레이더 스탠리 드러켄밀러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15년 동안 그의 발언을 보면 일관되게 부정적입니다.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일 때는 거의 목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2023년 6월 블룸버그 컨퍼런스에서 그는 “기업 수익이 20-30% 감소할 수 있다”며 경착륙을 경고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죠. 가끔 소행성이 지구를 놓치기도 합니다.
세 번째 함정: 사기꾼의 달콤한 유혹
로버트 기요사키의 참치 캔 투자론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2023년 6월 강연에서 놀라운 조언을 했습니다. 200만 명의 팔로워들에게 주식을 팔아서 참치 캔을 사두라고 말한 것입니다.
“최고의 투자는 참치와 구운 콩 통조림입니다. 금, 은, 비트코인을 먹을 수 없습니다”라고 그는 주장했습니다. 마치 쿠키 몬스터가 투자 조언을 하는 것 같은 상황이었죠.
공포 마케팅의 실체
벤 칼슨의 차트에 따르면 기요사키는 지난 15년 동안 일관되게 붕괴를 예측해왔습니다. 사람들의 공포를 이용해 다른 상품을 팔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포는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이지만, 투자 조언으로는 최악입니다.
네 번째 함정: 옵션 거래의 함정
재미있지만 위험한 게임
옵션 거래는 재미있습니다. 더 큰 베팅을 하거나 투기 외에 다른 목적으로 고안된 전략도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 트레이더들의 옵션 거래 활동 상당 부분은 기껏해야 무의미하고, 최악의 경우 포트폴리오 가치를 떨어뜨리는 거대한 함정일 뿐입니다.
제로데이 옵션의 유혹
제로데이부터 만기 계약, 주간 옵션 등의 거래량이 얼마나 많은지 우리 모두 알고 있습니다. 엄청납니다. 상상을 초월합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개인 투자자들이 켄 그리핀 같은 시장 조성자만큼 잘할 수는 없습니다.
옵션 거래에서는 방향을 잘 잡아야 할 뿐만 아니라 만기 계약의 경우 타이밍도 잘 잡아야 합니다. 그게 어떻게 쉬울 수 있을까요?
다섯 번째 함정: 매크로 경제 지표 집착
정보 과부하의 역설
경제 지표와 시장 투자 성과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매일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읽고 의견을 정리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전혀 모르겠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어떤 날은 상황을 정말 잘 파악하고 있다고 느끼고, 어떤 날은 모든 것이 거꾸로 된 것처럼 보입니다. 전문가들도 마찬가지입니다.
9차원 체스의 함정
매크로 추측은 주중에는 직장에서 일하고 주말에는 가족을 돌보는 사람들에게는 이길 수 있는 게임이 아닙니다. 전 우주를 상대로 9차원 체스를 두는 것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닙니다.
골프를 치고 아이들을 축구 연습장에 데려다주는 사이에 남는 시간에 체스를 두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K마트의 조지 소로스가 되려고 하지 마세요.
단순함이 승리한다
2023년의 재미있는 점은 미국 대형주들의 수익이 예상보다 적게 줄어들었다가 3분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하락과 동시에 일어났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수익 수정에만 집중했다면 올해를 제대로 예측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달러와 신용 스프레드, 중국의 부양책 같은 복잡한 지표들을 쫓아다녔다면 모든 것을 놓쳤을 겁니다.
단순함의 지혜
시장에서 돈을 잃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2023년 가장 많이 망쳤을 가능성이 높은 5가지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행히 그런 상황에 처하지 않으셨다면, 이 글을 읽고 미래를 위해 경계를 늦추지 않기를 바랍니다. 투자는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단순한 원칙을 꾸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함정에 빠질 뻔했거나, 실제로 경험해보신 적이 있나요?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남들이 하는 화려한 전략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단순하고 일관된 원칙을 세우고 지키는 것입니다.
참고 자료: Josh Brown, “Five ways you managed to lose money this y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