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말하는 포트폴리오 최적화 전략

0

여러분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상품 투자는 얼마나 배분하고 계시나요? 많은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에만 집중하다가 인플레이션이나 지정학적 위기 때 뒤늦게 상품 투자의 필요성을 깨닫곤 합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이 전문가들과 함께 분석한 상품 투자의 적정 비중과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상품 투자, 적정 비중은 얼마일까?

전문가들의 권장 비중: 5%의 법칙

현재의 거시경제 환경을 고려할 때, 상품 전문가들은 개인 투자자에게 포트폴리오의 5% 정도를 상품에 배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조언합니다. 이는 전통적인 60% 주식-40% 채권 포트폴리오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권장 사항입니다.

100만 달러 포트폴리오 기준으로 보면 단 5만 달러에 불과한 금액이지만, 투자 자문 서비스 퍼슨스 플래닛의 설립자 존 퍼슨은 “그리 크지 않은 금액이지만, 앞으로 3~5년 동안 잘 될 수 있는 상품 움직임에 어느 정도 노출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왜 지금 상품 투자가 중요한가?

현재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면 상품 투자의 필요성이 더욱 분명해집니다:

  • 인플레이션 지속: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7%로 연준의 2% 목표를 여전히 상회
  • 지정학적 불확실성: 각종 국제 분쟁과 공급망 불안정성
  • 기후 변화: 극심한 기상 이변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 차질

인베스코의 상품 전략가 캐시 크리스키의 연구에 따르면, 1998년 이후 CPI가 2% 이상일 때 상품은 74%의 확률로 플러스 수익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CPI가 2% 미만일 때는 84%의 확률로 마이너스 수익을 보였다고 합니다.

어떤 상품에 투자해야 할까?

광범위한 분산투자가 핵심

전문가들은 개별 상품보다는 광범위한 상품 ETF를 통한 분산투자를 강력히 권합니다. 코코아나 구리 가격이 오르는 원인과 옥수수나 원유 가격이 오르는 원인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독립 상품 연구 분석가 스털링 스미스는 “상품에 분산 투자를 하고 싶지만, 아이오와의 기상 패턴을 연구하거나 시장에 계속 연결되어 있기 싫다면, 광범위한 상품 ETF 같은 것이 상품에 대한 거시적 노출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세 가지 핵심 섹터: 에너지, 금속, 농산물

효과적인 상품 투자를 위해서는 다음 세 가지 주요 부문에 골고루 노출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에너지: 원유, 천연가스 등 전 세계 경제의 기초 동력
  • 금속: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 산업 및 투자 수요
  • 농산물: 밀, 옥수수, 대두 등 기본 식량 자원

크리스키는 최근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에너지와 농산물 시장이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헤지인 금보다 더 좋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습니다.

투자 타이밍과 전략

헤드라인을 쫓지 마라

많은 투자자들이 코코아 가격이 톤당 11,000달러를 넘어서거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상품 가격이 급등하는 뉴스를 보고 뒤늦게 상품 투자에 뛰어듭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뉴스가 되기 전에 이미 많은 상승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합니다.

자산운용사 아브드른의 투자 전략 책임자 로버트 민터는 “상품 시장은 역동적이며, 공급 변화는 날씨, 정치 등 예측하기 어려운 요인들에 의해 움직입니다”라고 설명합니다.

정기 적립과 리밸런싱이 답

시장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기 적립식 투자: 일정 간격마다 정해진 금액을 매수하여 목표 비중에 도달
  • 하락 시 매수: 가격이 하락할 때를 노려 추가 매수
  • 정기적 리밸런싱: 변동성으로 인한 비중 변화를 주기적으로 조정

스털링 스미스는 “만약 5% 비중이었다가 7%로 늘었다면, 조금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시장은 변하기 마련이고, 그럴 때 차분히 조정하면 웃으며 떠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조언합니다.

ETF 선택 시 주의사항

지수 구성의 차이를 이해하라

광범위한 상품 지수 ETF를 선택할 때는 기초 지수의 구성 방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 S&P GSCI 상품 지수: 약 60%가 에너지 시장으로 구성
  • 블룸버그 상품 지수: 에너지 비중이 약 29%에 불과

이러한 가중치 차이는 지수의 수익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일부 지수는 천연가스처럼 변동성이 큰 시장을 제외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여름철 전기 시장이나 겨울철 난방 수요 변화에 대한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상품 투자의 양면성

기회와 위험의 균형

상품 투자는 분명한 장점과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

  • 인플레이션 헤지 효과
  •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
  • 공급 충격 시 강세 가능성

한계:

  • 배당금이나 이자 수익 없음
  • 높은 변동성
  •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 요인에 민감

전문가들은 너무 큰 비중을 두면 다른 자산에서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위험이 있고, 너무 적게 투자하면 상품의 분산 효과를 누리지 못한다고 경고합니다.

균형 잡힌 상품 투자 전략

상품 투자는 “설정 후 방치”하는 투자가 아닙니다.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목표 비중에서 쉽게 벗어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현재의 경제 환경에서 포트폴리오의 5% 정도를 광범위한 상품 ETF에 배분하고, 정기적인 적립과 리밸런싱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전략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는 상품 투자가 어느 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나요?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위험이 상존하는 현재 상황에서, 상품 투자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일지도 모릅니다.

참고 자료: The Wall Street Journal, “The Best Way to Start Investing in Commodities, According to the Pro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