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 수익률이 만드는 화려한 수치에 속지 마세요. 투자 성공의 핵심은 시장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복리의 마법에 숨겨진 함정
여러분도 한 번쯤은 봤을 겁니다. 1926년에 1달러를 주식시장에 투자했다면 오늘날 1만 달러가 넘는 엄청난 부를 이룰 수 있었다는 그래프 말이죠. 복리의 놀라운 힘을 보여주는 이런 자료는 정말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과연 이것이 현실적일까요?
벤저민 프랭클린의 명언처럼 “돈은 돈을 낳고, 그 돈이 또 돈을 낳는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돈을 벌 수 있는 능력과 환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장 청산의 원리와 투자 능력의 한계
모두가 배당금을 재투자할 수 없는 이유
주식 투자에서 배당금 재투자는 분명 좋은 전략입니다. 하지만 “모든 투자자가 배당금을 영원히 재투자한다”는 가정에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 첫째, 시장 청산의 요건을 위반합니다. 매수 총액과 매도 총액은 같아야 하는데, 모두가 동시에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주식을 매수하려면 반드시 누군가는 그 주식을 팔아야 합니다.
- 둘째, 개인 차원에서도 한계가 있습니다. 한 사람이 계속해서 배당금을 재투자한다면, 결국 주식 시장 전체를 소유하게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실제 투자 수익률은 생각보다 낮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주 집단 전체의 실제 주식 보유 수익률은 개별 투자자가 기대하는 10%가 아닙니다. 배당금을 주식에 재투자하는 대신 다른 자산에 투자해야 하는 현실적 제약 때문에, 실제 수익률은 그보다 상당히 낮을 수 있습니다.

농지 투자 사례로 본 수용력 제약
간단한 예시로 이해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100만 달러로 300에이커의 농지를 구매했다고 가정해보세요. 이 농지는 매년 5만 달러의 임대 수입을 가져다주어 5%의 수익률을 제공합니다.
복리 공식에 따르면 이 투자가 4.9% 수익률의 CD보다 유리해 보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함정이 있습니다.
매년 받는 임대 수입을 어떻게 재투자할 것인가?
더 이상 구매할 농지가 없다면, 그 수입을 다른 곳에 투자해야 합니다. 만약 유일한 선택지가 수익률 0%의 저축이라면, 5년 후 총 수익은 125만 달러에 그칠 것입니다. 이는 CD의 127만 달러보다도 낮은 수준입니다.
일론 맥베조스의 가상 실험
더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1926년에 가상의 억만장자 ‘일론 맥베조스’가 미국 주식시장의 20%를 매수하고 배당금을 재투자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놀랍게도 2013년경에는 그의 포트폴리오 가치가 전체 주식 시장의 100%를 초과하게 됩니다. 이는 명백히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복리의 힘이 아무리 강력해도 시장의 수용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스마트 머니 전략
실제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스마트 머니’ 역할을 합니다. 주가가 높을 때는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주가가 낮을 때는 자사주를 매입합니다. 이런 패턴으로 인해 전체 주주들은 수학적 법칙에 따라 불리한 타이밍에 거래를 하게 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발행 패턴의 결과로 실제 투자자 수익률은 매수 후 보유 수익률보다 체계적으로 낮다고 합니다. 과거 주식 프리미엄과 자기자본 비용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세사의 체스판 이야기가 주는 교훈
전설 속 수학자 세사는 체스를 발명한 대가로 왕에게 체스판의 각 칸마다 밀알을 두 배씩 늘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첫 번째 칸에 1알, 두 번째 칸에 2알, 이런 식으로 64칸까지 채우면 총 1,800경 개의 밀알이 됩니다.
이는 당시는 물론 현재도 전 세계 밀 생산량을 훨씬 초과하는 양입니다. 복리의 수학적 힘이 아무리 강력해도 현실의 용량 제약을 이겨낼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완벽한 사례입니다.
현실적 투자 전략을 위한 통찰
복리 효과 vs 투자 능력
워런 버핏이나 짐 시몬스 같은 전설적인 투자자들도 결국 투자 수용력의 한계에 부딪혔습니다. 복리 효과는 부 창출의 킹콩이지만, 제한된 수용력이라는 고질라에게 패배할 수 있습니다.
배당금 재투자의 현실적 접근
개별 투자자에게는 여전히 배당금 재투자가 좋은 전략입니다. 하지만 시장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모든 배당금이 주식에 재투자될 수는 없습니다. 일부는 다른 자산군으로 흘러가야 하며, 이는 전체적인 수익률을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투자자가 알아야 할 핵심 메시지
복리의 힘은 분명 강력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무한하지 않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실제 투자 환경에서는 인플레이션, 세금, 비용, 그리고 시장의 수용력 제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이론적 수익률을 깎아내립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 화려한 복리 그래프에 현혹되지 말고 현실적인 수익률을 예상하세요
- 시장의 구조적 한계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세요
- 개별 투자자로서는 여전히 장기 투자와 배당금 재투자가 유효함을 인식하세요
복리의 마법을 믿되, 그 한계도 함께 이해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투자 지혜의 출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