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유니콘”이라는 단어가 일상이 된 시대, 투자 없이 연매출 2천억원을 달성한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유명한 베이스캠프입니다. 70명의 직원으로 이런 성과를 낸다는 것, 믿어지시나요?
투자 광풍 속에서 홀로 걸어온 베이스캠프의 특별함
2004년부터 시작된 베이스캠프는 20년간 단 한 푼의 VC 투자도 받지 않았습니다. 대신 매년 흑자를 내면서 안정적으로 성장해왔죠. 창업자 제이슨 프라이드는 회사 매각이나 IPO에 전혀 관심이 없다고 단언합니다. 평생 운영하고 싶은 회사를 만들고 있다는 거죠.
흥미로운 건 경쟁사와의 극명한 대조입니다. 비슷한 프로젝트 관리 도구인 아사나는 수천억원의 투자를 받아 8천억원 매출을 달성했지만, 1,500명을 고용하며 매년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요. 어떤 방식이 더 지속가능할까요?
베이스캠프 창업자가 말하는 9가지 비즈니스 철학
1. 투자 없이 돈 버는 능력을 기르라
많은 테크 기업들이 유저만 모으면 수도꼭지를 돌리듯 쉽게 돈을 벌 수 있다고 착각합니다.
제이슨은 사업가라면 반드시 수익을 만드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투자를 받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돈을 버는 방법을 익히게 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인 역량이 됩니다.
2. 비용 통제가 진짜 경쟁력이다
유일한 경쟁자는 비용입니다.
수익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하지만, 비용은 창업가가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비용을 낮게 유지하면 경쟁사가 어떤 전략을 펼치든 버틸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베이스캠프가 아사나, 슬랙 같은 거대 자본의 경쟁사들 사이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핵심 비결이죠.
3. 연간 목표 설정을 포기하라
달리기 기록보다 달리기 자체를 즐기려고 합니다.
제이슨은 특정 숫자 목표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매일 최선을 다하고 흑자를 내는 것이 유일한 목표예요. 목표 달성에 스트레스받기보다는 일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4. 비즈니스는 전쟁이 아니다
비즈니스는 제로섬 게임이 아닙니다. 경쟁사를 망하게 하고 싶지 않아요.
미디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쟁 비유를 거부합니다. 1등이 되는 것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5. 정직한 방법으로만 수익을 창출하라
고객의 데이터를 팔아서 돈을 버는 광고 비즈니스는 옳지 않습니다.
베이스캠프는 좋은 제품을 만들고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는 것만으로 사업을 운영합니다. 단순한 이익 추구를 넘어 ‘올바른’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6. 정보 과부하를 피하라
많은 정보를 소비하기보다는 선별적으로 필요한 정보만 받아들입니다. 노이즈에 휩쓸리지 않고 본질에 집중하는 것이죠.
7. 직감을 믿어라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창업자의 직감 역시 무시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베이스캠프는 직감과 데이터의 균형을 잘 맞춰가며 의사결정을 내립니다.
8. 위험 감수가 창업자의 임무다
안전한 길보다는 필요한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창업자의 역할입니다. 단, 무모한 도전이 아닌 계산된 위험을 말하는 것이죠.
9. 엑시트보다 지속가능성을 선택하라
평생 운영하고 싶은 회사를 만들고 있습니다.
회사 매각이나 IPO 대신 오래도록 운영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작은 것의 힘: 70명으로 2천억을 만드는 비밀
베이스캠프의 성공은 ‘작지만 강한’ 조직의 힘을 보여줍니다. 70명이라는 작은 인원으로 1인당 약 28억원의 매출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효율성과 집중력이 규모보다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10년째 재택근무를 유지하며 직원들의 워라밸을 보장하고, 영업이익을 배당금으로 나누어 직원들과 공유하는 방식도 주목할 만합니다. 투자자가 없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한국 스타트업이 배울 점
베이스캠프의 사례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투자 유치가 성공의 척도가 된 현실에서, 실제 수익 창출 능력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합니다.
물론 모든 비즈니스가 베이스캠프처럼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성장, 진정한 가치 창출,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운영이라는 핵심 메시지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여러분의 비즈니스는 투자 없이도 스스로 서있을 수 있나요? 진정한 경쟁력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볼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