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성과가 나쁠 때, 신입 탓하고 있지 않나요?

0

새로운 팀원이 합류했는데 갑자기 분위기가 어색해졌다면, 여러분은 무엇부터 의심하시나요? 아마 대부분 “새로 온 사람 때문인가?”라고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이런 판단이 얼마나 성급한지 알 수 있습니다.

새로운 피의 수혈, 그 이면의 심리학

조직에서 ‘새로운 피를 수혈한다’는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영어에서도 동일하게 ‘fresh blood’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조직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인재를 영입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새로운 구성원이 합류했을 때 나타나는 팀 내 갈등을 단순히 ‘새로운 변수’ 탓으로 돌리는 경향입니다. 밀의 인과적 귀납법을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기존과 달라진 요소를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88명의 경찰관이 보여준 놀라운 진실

일리노이대학교와 텍사스 A&M 대학, 북경대 연구진이 88명의 중국 경찰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는 우리의 편견을 뒤집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연구진은 신입 경찰관들이 각각 다른 경찰서로 배치되는 과정을 관찰하며, 두 가지 핵심 요소를 분석했습니다:

관계적 불일치 vs 기능적 불일치

  • 관계적 불일치는 신입과 기존 직원들의 성향이 얼마나 다른지를 측정합니다. 성격, 의사소통 스타일, 가치관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기능적 불일치는 업무 전문성이나 전공 배경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신입이 기존 팀의 업무 프로세스나 전문 영역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연구진은 당연히 이 두 요소가 클수록 기존 직원들의 부정적 감정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전혀 달랐습니다.

진짜 변수는 ‘팀의 직전 성과’였다

연구 결과, 신입 직원의 특성보다 훨씬 더 중요한 요인이 발견되었습니다. 바로 신입이 합류하기 직전의 팀 성과였습니다.

성과가 좋은 팀의 반응

직전 성과가 우수했던 팀들은 놀라운 관용을 보였습니다:

  • 관계적 불일치에 전혀 영향받지 않음
  • 기능적으로 잘 맞는 신입이 들어오면 오히려 더 큰 긍정적 반응
  • 설령 궁합이 안 맞아도 감정적 문제 없이 해결
Liu, Y., Song, Y., Trainer, H., Carter, D., Zhou, L., Wang, Z.,

성과가 나쁜 팀의 반응

반면 직전 성과가 부진했던 팀들은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습니다:

  • 관계적 불일치에 민감하게 반응
  • 기능적으로 맞는 신입이 와도 별다른 긍정 효과 없음
  • 조금만 틀어져도 불평불만이 쉽게 표출
Liu, Y., Song, Y., Trainer, H., Carter, D., Zhou, L., Wang, Z.,

누가 이런 사람을 우리 팀에 들였냐?

여러분의 팀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면, 십중팔구 팀의 직전 성과가 좋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연구 결과를 보면:

  • 성과가 좋은 팀: 일적 갈등이 있어도 감정적 문제로 번지지 않음
  • 성과가 나쁜 팀: 작은 차이도 큰 감정적 반발로 이어짐

이는 나쁜 성과로 인한 스트레스와 좌절감이 새로운 구성원에게 전가되는 현상으로 해석됩니다. 즉, 신입은 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희생양인 셈입니다.

Liu, Y., Song, Y., Trainer, H., Carter, D., Zhou, L., Wang, Z.,

HR이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이 연구가 HR 담당자들에게 주는 시사점은 명확합니다:

성과 우수 팀

  •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배치 가능
  • 다양성을 통한 시너지 창출 기대
  • 관계적 불일치도 큰 문제가 되지 않음

성과 부진 팀

  • 신중한 배치 전략 필요
  • 기능적 일치도 높이기보다는 팀 성과 개선이 우선
  • 단순히 ‘맞는 사람’ 찾기보다는 근본적 문제 해결이 중요

조직 문화의 성찰이 필요한 시점

“새로 온 사람 때문에 분위기가 이상해졌어”라는 말이 조직 내에서 자주 들린다면, 이는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 우리 팀의 성과는 어떤 상태인가?
  • 기존 구성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 새로운 구성원을 희생양으로 만들고 있지는 않은가?

건강한 팀 문화를 위한 제언

성공적인 조직 사회화를 위해서는 신입 직원의 적응만큼이나 기존 팀의 상태가 중요합니다.

성과가 좋은 팀은 자연스럽게 새로운 구성원을 포용하고, 다양성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냅니다. 반면 성과가 부진한 팀은 아무리 ‘완벽한 인재’를 배치해도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팀에 새로운 구성원이 합류했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시나요? 그 반응 속에서 우리 팀의 진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참고 자료: Liu, Y., Song, Y., Trainer, H., Carter, D., Zhou, L., Wang, Z., & Chiang, J. T.-J. (2023). Feeling negative or positive about fresh blood? Understanding veterans’ affective reactions toward newcomer entry in teams from an affective events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8(5), 728–749.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