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이 나쁘다”고 자주 말하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특히 코칭 현장에서는 극도로 부정적인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되죠. 하지만 진짜 문제는 이런 부정적 에너지가 전이되어 코치까지 힘들어진다는 점입니다.
과연 행운은 정말 우연의 산물일까요? 아니면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일까요? 최근 심리학과 경영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긍정심리자본’ 이론은 이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합니다.
운과 행운, 그 근본적인 차이점
먼저 ‘운(luck)’과 ‘행운(Good luck)’의 차이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운은 단순히 스쳐 지나가는 우연한 사건입니다. 반면 행운은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영원히 가질 수 있는 자산입니다.
현대 사회는 ‘능력주의(메리토크라시)’가 팽배합니다. 모든 것이 능력으로 결정된다고 믿죠. 하지만 놀랍게도 인생 성공의 8할이 행운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행운을 어떻게 의도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긍정심리자본 HERO 모델의 탄생
미국 네브래스카 경영대학의 프레드 루선스(Fred Luthans) 석좌교수가 창시한 ‘긍정심리자본(Psychological Capital)’ 이론은 이런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을 제시합니다.
HERO 모델은 다음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 Hope(희망): 비전을 공유하는 힘
- Efficacy(효능감): 목표를 높이는 자신감
- Resiliency(회복탄력성): 실패를 뛰어넘는 힘
- Optimism(낙관주의): 최선을 다해 가능성을 찾기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나는 운이 좋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말이 씨가 되기 때문입니다.
Hope 희망: 현실을 바꾸는 경로력
희망은 막연한 기대가 아니다
많은 사람이 ‘희망’을 실체가 없는 것으로 오해합니다. 하지만 희망은 명확한 긍정적 동기부여 상태입니다. 현재 지점에서 목표 지점으로 이끄는 구체적인 힘, 바로 경로력(waypower)입니다.
더 많은 기회를 잡는 전략
행운을 높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추구하는 기회의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더 많은 일자리에 지원하고, 더 많은 사교 행사에 참여하고, 더 자주 도전하는 것이죠. 수학적으로 생각해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더 많이 시도할수록 긍정적인 결과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핵심은 한방을 기대하기보다 잘게 쪼개서 실천하는 것입니다. 즉 ‘꾸준하게 시도하는’ 힘을 이용해야 합니다.
Efficacy 효능감: 작은 성공이 만드는 자신감
목표 설정의 심리학
효능감은 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힘든 일을 선택하며, 도전을 즐기고 난관을 돌파할 수 있는 자신감의 정도를 말합니다. 이는 성취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잘게 쪼개서 작은 성공(small wins)을 반복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감사 실천의 과학적 효과
먼저 베푼 사람이 운이 좋아집니다. 감사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주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꿉니다. 정기적으로 감사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서 긍정적인 점을 발견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관계의 힘: 기브앤테이크의 균형
강력한 소셜 네트워크는 새로운 기회로 이어집니다. 지지해주는 친구나 동료가 있는 사람들은 스스로는 접하지 못했던 기회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기브앤테이크의 균형입니다. 먼저 베풀되, 되돌아오지 않으면 그만두면 됩니다. 그리고 테이커들은 멀리해야 합니다.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면서 움직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Resiliency 회복탄력성: 실패를 도약의 발판으로
역경을 뛰어넘는 의지력
회복탄력성은 문제나 실패, 역경에 직면했을 때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거나 그것을 뛰어넘는 힘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참고 견디기가 아니라, 역경을 통해 도약의 발판을 갖는 의지력(willpower)입니다.
적응성의 전략적 가치
탄력성을 가지면 실패에서 되돌아와 성공할 때까지 계속 노력할 수 있습니다. 적응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무엇이 효과적이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를 배우면서 전략을 지속적으로 조정합니다.
의사결정 기술의 중요성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능력은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여기에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잠재적 결과를 고려하며,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선택을 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무엇보다 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는 의지가 있을 때만 가능합니다.
Optimism 낙관주의: 새로운 관점으로 가능성 찾기
리프레이밍의 힘
낙관주의는 단순한 긍정적 사고가 아닙니다. 과거에 대해 책임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관대하게 긍정적으로 재구성하는 것, 현재에 대한 엄밀한 평가와 미래의 기회를 찾는 의지를 말합니다.
낙관주의는 미래에 원하는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감을 갖는 것으로, 핵심은 리프레이밍(reframing)에 있습니다.
낙관론자들의 특별한 능력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낙관적인 사람들은 실제로 삶에서 더 긍정적인 사건을 경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그들이 성공으로 이어지는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낙관론자들은 좌절을 더 잘 처리합니다. 그들은 실패를 영구적이고 만연한 것이 아니라 일시적이고 구체적인 것으로 봅니다.
긍정적 마인드의 실천 방법
긍정적 마인드는 긍정적인 사건을 경험할 가능성을 크게 높입니다. 구체적인 실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운이 나빴던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도우며 살기
- 성취를 스스로 이룬 것처럼 자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부러워하지 말고 불쌍히 여기기
- 감사하고 겸손해야 하는 이유를 찾기
내 운이 좋다고 결정하는 것, 이것이 바로 ‘마음’의 힘입니다.
네 가지 씨앗의 조화
HERO 모델의 핵심은 네 가지 ‘씨앗’의 조화로운 발전에 있습니다:
- “나는 운이 좋다”고 말하는 것
- 한방을 기대하기보다 잘게 쪼개서 실천하는 것
-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면서 움직이는 것
- 내 운이 좋다고 결정하는 것
행운을 만드는 과학적 접근법
행운은 우연이 아닙니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는 것입니다. HERO 모델은 이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여러분도 오늘부터 “나는 운이 좋다”고 말해보세요. 그리고 희망, 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주의를 하나씩 실천해보세요. 작은 변화가 큰 행운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부정적인 사람들의 에너지에 휩쓸리지 말고, 여러분만의 긍정심리자본을 차근차근 쌓아가세요. 행운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