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 우리는 그들의 재능과.노력, 의지력에 초점을 맞추곤 합니다. 그러나 성공 방정식에는 종종 간과되는 중요한 변수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운’입니다.
오늘은 성공에 있어 운이 갖는 역할과 그것을 인식하는 방식이 어떻게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이 운을 인정하지 않는 이유
수필가 E.B. 화이트는 “운이란 말은 자수성가한 사람들 앞에서 해서는 안 될 말이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은 놀랍도록 정확한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성취를 온전히 개인의 능력과 노력의 결과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데, 이것은 흥미로운 심리적 현상의 결과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사후 과잉 확신 편향(hindsight bias)’이라고 부릅니다.
사회학자 폴 라자스펠드가 수행한 흥미로운 실험에서 이 현상이 잘 드러납니다.
라자스펠드는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결과를 사람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그는 시골 출신이 도시 출신보다 군 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고, 사람들은 이것이 너무도 당연하다며 “왜 그런 명백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비싼 연구를 했냐”고 반응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연구 결과는 정반대였습니다. 도시 출신이 군 생활에 더 잘 적응했던 것입니다.
즉, 라자스펠드는 의도적으로 사실을 바꿔 말했고 사람들은 어떤 결과든 그것이 필연적이었다고 생각하는 편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우리가 성공 서사를 만드는 방식
성공한 사람들은 과거를 되돌아볼 때 자신의 성공이 필연적이었다는 서사를 만들어냅니다.
그들은 기억 속에서 성공에 부합하는 요소들을 선별적으로 골라내는데, 대부분의 성공한 사람들은 실제로 재능있고 근면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 톰 길로비치(Tom Gilovich)의 연구에 따르면,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의 성공 과정에서 도움이 되었을 외부 요인들을 기억할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예를 들어, 방황하던 시절 방향을 잡아준 선생님이나, 자신보다 능력 있는 동료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회사를 떠나 얻게 된 조기 승진 같은 일들을 잘 기억하지 못합니다.
길로비치는 이러한 현상을 사람들이 순풍과 역풍에 비대칭적으로 반응하는 것에 비유합니다. 자전거를 타거나 달릴 때 강한 역풍은 선명하게 느끼지만, 등 뒤에서 불어오는 순풍의 도움은 금방 잊어버리게 됩니다.
길로비치와 심리학자 샤이 다비다이의 공동 연구는 사람들이 자신의 앞길을 방해했던 요소들보다 도움이 되었던 요소들을 훨씬 덜 기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로또 당첨자들의 사례: 운도 패턴으로 설명하려는 경향
이러한 경향은 운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 상황에서도 나타납니다. 마이클 모부신의 저서 “The Success Equation”(번역서: “내가 다시 서른 살이 된다면”)에는 흥미로운 사례가 등장합니다.
한 남성이 연속된 꿈을 믿고 마지막 두 자리가 48인 복권을 구매했고, 실제로 당첨되었습니다. 후에 인터뷰에서 그는 “7일 연속 7이 나오는 꿈을 꿨어요. 그리고 7 곱하기 7은 48이잖아요”라고 설명했습니다.
순전히 운으로 결정된 사건도 마치 자신이 예측했거나 통제할 수 있었던 것처럼 설명하려는 인간의 경향이 드러나는 순간입니다.
운의 인식이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
성공이 순전히 자신의 능력 때문이라고 믿게 되면, 성공을 가능하게 해준 공적 투자의 가치를 인정하고 다음 세대를 위해 나누려는 의지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사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좋은 환경에서 태어나는 것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엄청난 행운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다음 세대의 행운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미래에 대한 광범위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 당장 시작하지 않으면 너무 늦을 수 있습니다.
운에 대한 대화 방식의 차이
2012년 엘리자베스 워렌의 “you didn’t build that” 강연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워렌은 성공한 기업가들에게 그들의 성공이 사회의 지원 — 교육받은 노동자, 경찰과 소방관의 보호, 소비자의 구매 등 — 없이는 불가능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녀는 그 대가로 다음 세대를 위한 사회적 책임을 요구했습니다.
그녀의 강연에 틀린 말은 없었지만, 이 메시지는 분노와 방어적인 반응만 불러일으켰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단순히 “운이 좋았다”고 말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것을 자신의 성취를 폄하하는 말로 받아들입니다.
고마움을 통한 인식 변화
그러나 같은 메시지도 다르게 전달하면 완전히 다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성공 과정에서 누렸던 행운에 대해 물어보면, 그들은 기꺼이 여러 사례를 떠올리며 진심 어린 감사의 감정을 보여줍니다.
경제학자 웨저우 후오(Yuezhou Huo)의 실험은 이러한 접근법의 효과를 증명합니다. 그는 참가자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지시를 내렸습니다:
- 첫 번째 그룹에게는 최근 외적 요인 덕분에 좋았던 일 세 가지를 적게 했습니다.
- 두 번째 그룹에게는 좋았던 일에 기여한 자신의 습성이나 행동 세 가지를 적게 했습니다.
- 세 번째 그룹에게는 단순히 최근의 좋았던 일 세 가지를 적게 했습니다.
실험 후 참가자들은 대가를 받았고, 원한다면 그 중 일부를 자선단체에 기부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결과는 주목할 만했습니다. 외적 요인(대부분 운)을 적었던 첫 번째 그룹이 자신의 습성이나 행동을 적었던 두 번째 그룹보다 25% 더 많은 금액을 기부했습니다.
세 번째 대조군의 기부 금액은 중간 정도였습니다.
언어의 힘: 같은 메시지, 다른 전달 방식
심리학자들이 오래전부터 이해해 온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같은 말이라도 전달 방식에 따라 완전히 다른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잔이 반 비었다”와 “잔이 반 찼다”는 말은 같은 상황을 묘사하지만, 전혀 다른 뉘앙스를 갖습니다.
운에 관한 대화도 마찬가지입니다. 성공한 사람에게 “당신은 운이 좋았다”고 말하는 것은 반감을 살 수 있습니다. 대신 “성공 과정에서 어떤 행운을 경험했는지” 물어보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접근법입니다.
이러한 질문은 고마움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이는 자연스럽게 나눔의 정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성공의 완전한 방정식을 인정하는 법
우리 모두는 자신의 성공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노력과 능력을 강조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운의 역할을 인정하는 것은 겸손함을 넘어 사회적 책임감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그들의 성취를 폄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성취를 가능하게 한 모든 요소 — 노력, 능력, 그리고 운 — 을 균형 있게 바라보는 시각입니다. 이러한 인식은 개인적 자부심과 사회적 책임감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토대가 됩니다.
다음 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성공의 방정식에서 운이 차지하는 부분을 인정하고, 그에 대한 대화 방식을 바꿔나가야 합니다. 그것이 모두에게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첫걸음일 것입니다.
참고 자료: Value Walk, “Why Luck Is The Silent Partner Of Su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