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이 늘수록 사업이 고통스러워지는 이유와 극복 전략

0

사업이 성장함에 따라 눈에 보이는 성과 이면에 숨겨진 복잡성과 부담이 커지는 현상이 있다고 합니다. 즉, 매출 증대가 반드시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주지 않으며, 그에 따른 고통의 선이 존재함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https://youtu.be/gow1ZW2RS0Q?si

사업 성장의 이면과 고통의 선

사업이 확장되면서 매출이 30만 달러, 90만 달러, 270만 달러 등 일정 단계마다 급증하는 고통의 선에 도달하게 됩니다. 각 성장 단계마다 사업가는 새로운 역량을 요구받게 되며, 단순 반복 업무나 능력 대비 부가가치가 낮은 일에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면 기회비용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업주가 직접 수행하는 업무와 타인에게 위임할 수 있는 업무 간의 시간 가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사업주는 보다 핵심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시간의 가치를 재정립하는 전략

사업주가 자신의 한정된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사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사업 초기에는 자금 제약으로 인해 모든 업무를 스스로 처리하지만, 성장 과정에서는 자신의 시간이 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자산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세 단계 전략을 통해 시간을 확보하고 핵심 역량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업무 감사(Audit): 본인이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목록화하고, 각 업무에 소모되는 시간과 에너지를 객관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반드시 직접 처리해야 하는 일과 타인에게 맡길 수 있는 일을 구분합니다.
  • 업무 이전(Transfer): ‘캠코더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합니다. 이러한 자료는 업무를 위임받을 인재에게 체계적인 교육 자료로 활용되어, 보다 원활하게 업무를 이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시간 투자(Fill): 확보된 시간을 전략적 사고, 의사결정, 대외 관계 구축 등 사업주만이 수행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도록 재투자합니다. 또한, 자기 발전을 위한 독서와 학습, 건강 관리와 가족과의 시간을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합니다.

위임과 자기 투자로 성장하는 리더십

많은 사업가들이 고통의 선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 해야 한다’는 통제욕에 사로잡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리더는 적절한 위임과 신뢰를 통해 팀원들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사업을 성장시킵니다. 실제로 한 사업주의 사례에서는, 과도한 업무 부담으로 인해 지쳐 있던 상황에서 일부 이익을 자신에게 재투자하여 집에 체육관을 마련하고, 가족과의 시간을 보장하는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사업주는 에너지를 회복하고, 핵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였습니다. 이러한 사례는 자기 투자와 위임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리더로서 지속적인 자기 업그레이드를 위해 역량, 신념, 그리고 성품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즉, 끊임없는 자기 발전과 대담한 결정이야말로 고통의 선을 넘어 다음 단계로 도약할 수 있는 열쇠임을 시사합니다.

Dan Martell

결론

매출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하는 복잡성과 업무량 증가는 자연스러운 성장의 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업주는 자신의 시간을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불필요한 업무는 위임하며, 자기 발전에 투자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단순히 단기적인 성과를 넘어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Dan Martell, youtube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