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이 자주 겪는 문제 중 하나인 미루기는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라 자기 통제의 어려움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오늘은 미루기를 줄이고 효율적인 생활을 만드는 여러 전략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미래의 나와의 단절 극복
많은 사람들이 오늘 해야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이유는 현재의 자신과 미래의 자신 사이에 실질적인 연결고리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미래의 자신을 타인처럼 느끼며 감정적으로 거리를 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미루기’라는 습관이 형성되는데, 미래의 자신을 생생하게 상상하고 현재와 연결시키는 연습을 하면 미루는 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분간 자신의 미래 모습을 3인칭 시점에서 자세히 상상해보는 방법은 자기 통제력을 높이고 미루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구체적인 시간 단위의 전환 효과
사람들은 긴 시간 단위를 구체적으로 체감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 월, 일 단위로 시간을 바라볼 때 느끼는 심리적 거리는 크게 다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추상적인 연 단위 대신 구체적인 일 단위로 계획을 세우면 미래가 더욱 가깝게 다가와 행동으로 옮기기가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자녀 교육이나 은퇴 준비와 같은 장기 계획도 ‘6571일 후’, ‘10950일 후’와 같이 구체적인 수치로 표현하면 시작 시점이 더 당겨지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렇게 시간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목표 달성을 위해 매우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과제 마감 전략의 실천
또 다른 연구에서는 학업이나 업무에서 과제 제출 간격을 짧게 설정할 경우, 성과가 크게 향상된다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MIT 경영대학원의 사례에서 정해진 마감일에 따라 주기적으로 과제를 제출한 학생들은 자유롭게 제출 날짜를 정한 학생들보다 더 높은 성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과제의 제출 간격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며, 꾸준한 작은 목표 달성이 전체적인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기 관찰과 꾸준한 실천의 중요성
일상에서 다이어트, 학습,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행동을 관찰하고 점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정해진 시간 동안 자신의 행동을 꼼꼼히 기록하고 평가하는 과정은 자기 통제력을 강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자기 관찰의 습관은 목표를 세분화하고 작은 성취감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게 하여 미루는 행동을 자연스럽게 줄이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결론
미루기는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라 우리의 미래와 현재를 잇는 연결고리의 부재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미래의 자신을 생생하게 상상하고, 시간을 구체적인 단위로 전환하며, 주기적인 과제 제출과 자기 관찰을 통해 미루는 습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소개한 전략들을 실천에 옮기면, 보다 효율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삶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 iaap journals, “A Mental Imagery Intervention to Increase Future Self-Continuity and Reduce Procrastination”
- sage journals, “When Does the Future Begin? Time Metrics Matter, Connecting Present and Future Selves”
- sage journals, “Procrastination, Deadlines, and Performance: Self-Control by Precommitment”